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이재명 대통령으로부터 선물받은 ‘신라 천마총 금관’ 모형이 미국 주요 방송의 풍자 소재로 떠올랐다. 트럼프 대통령의 ‘제왕적 행보’에 대한 비판 여론이 거센 상황에서 한국이 ‘왕관’을 선물하자 미국 내 정치 토크쇼들이 “한국이 상황을 더 꼬이게 했다”고 꼬집은 것이다.
미국 케이블채널 코미디센트럴의 ‘더 데일리 쇼’ 진행자 데시 리딕은 29일 방송에서 “황금 왕관! 우리 대통령을 위한 정말 사랑스럽고 사려 깊은 선물이네요”라고 비꼬며 말을 시작했다. 그는 카메라를 향해 “한국, XX 대체 뭐 하는 거냐”며 “우린 지금 대통령이 ‘왕 놀이’에 빠지지 않게 애쓰고 있는데, 당신들은 와서 ‘이 멋진 왕관 좀 써보세요’라더라”고 말했다.
리딕은 이어 “그냥 다른 나라들처럼 돈 자루나 건네라”며 “제발 분위기 망치지 말라”고 덧붙였다. 해당 장면은 비속어가 삐처리된 채 방영됐고 방청객들은 폭소와 함께 박수를 쏟아냈다. 그는 트럼프 대통령의 아시아 순방을 “그야말로 ‘예스 킹(Yes King)’ 랠리였다”고 꼬집으며 한국의 선물을 조롱했다.
CBS의 간판 심야 토크쇼 ‘더 레이트 쇼’도 비슷했다. 진행자 스티븐 콜베어는 이재명 대통령이 트럼프 대통령에게 금관을 전달하는 장면을 보여주며 “한국인들은 트럼프에게 지금 그에게 없는 단 한 가지, 커다란 금빛 왕관을 줬다”고 말했다. 이어 “공식 오찬에 케첩을 곁들인 미니 소고기 패티가 나왔는데, 그들은 말 그대로 트럼프를 ‘버거킹’으로 만들었다”고 덧붙였다.
NBC의 ‘레이트 나잇 위드 세스 마이어스’ 진행자 세스 마이어스는 “그거 아세요? 카메라가 꺼지자마자 트럼프가 ‘그거 써도 되냐’고 물었다더라”고 말해 폭소를 자아냈다.
ABC의 ‘지미 키멀 라이브’ 진행자 지미 키멀도 금관 풍자 대열에 합류했다. 그는 트럼프 대통령이 금관을 쓰고 있는 AI 합성 영상을 화면에 띄운 뒤, “아이들에게 포켓몬 카드를 줘서 달래는 것처럼 다루기 쉬운 사람”이라며 “어쩌면 그는 그냥 거기 남아서 한국의 왕이 됐을지도 모른다”고 비꼬았다.
한편 이재명 대통령의 금관 선물은 틱톡을 중심으로 밈으로 확산 중이다. AI로 합성된 트럼프 대통령이 신라 금관을 쓴 채 멜라니아 여사와 춤을 추거나 금관을 머리에 쓴 채 비행기에 올라 미국으로 떠나는 영상이 이어지고 있다.
미국 내에서는 트럼프 대통령의 ‘왕관 선물’ 논란이 단순 해프닝을 넘어 정치적 풍자와 비판의 상징물로 번지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과거 자신의 SNS에 ‘Long Live The King(왕이여 영원하라)’라는 문구와 함께 왕관을 쓴 합성 이미지를 올린 바 있어, 이번 신라 금관 선물이 그 이미지를 더욱 강화했다는 평가도 나온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lia@sedaily.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