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추석을 맞아 작년보다 더 행복하거나 기대된다고 답한 국민은 10명 중 1명 수준에 그쳤다. 여론조사 전문 4개 기관(엠브레인퍼블릭·케이스탯리서치·코리아리서치·한국리서치)이 설문했더니, 지난해보다 행복감이나 기대가 더 크다"는 응답은 14%에 불과했다.
2일 엠브레인퍼블릭 등 여론조사 전문 4개 기관은 지난달 29일부터 이달 1일까지 만 18세 이상 성인 1003명을 대상으로 정치 및 사회 전반 인식에 대해 물어본 뒤 '전국지표조사 보고서'를 이날 발표했다. 그 결과 "지난해보다 행복감이나 기대가 더 크다"는 응답자는 14%로 집계됐다.
반면 "올해 추석이 더 염려되거나 부담된다"는 답변은 37%로 세 배 가까이 많았다. "지난해와 별 차이 없다"는 응답은 47%였다. 전년 대비로는 긍정 응답이 7%포인트 늘고 부정 응답이 5%포인트 줄어 소폭 개선된 것처럼 보이지만, 최근 5년간의 추이를 살펴보면 명절에 대한 국민의 기대감은 여전히 낮은 수준에 머물고 있다.
2020년 9월 조사에서는 코로나19 영향으로 추석 기대감이 2%까지 떨어졌었다. 이후 2022년과 2023년에도 각각 7%와 9%로 한 자릿수를 벗어나지 못했다. 올해 설 명절 조사에서도 긍정 응답은 13%와 7%에 그쳤다. 명절이 가족과의 재회나 휴식보다는 경제적·심리적 부담으로 다가오는 현실이 5년째 이어지고 있는 셈이다.
이번 조사에서는 사회 양극화 인식도 함께 물었다. '수도권과 지방 격차'가 89%로 가장 심각한 양극화 현상으로 꼽혔다. 뒤를 이어 '빈부 격차'(85%), '디지털 활용 능력 차이'(71%), '교육 수준 격차'(70%) 순으로 나타났다. 단순히 소득 불평등뿐 아니라 지역·세대·정보 접근성의 불균형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며 국민들이 체감하는 격차가 깊어지고 있음을 보여준다.
이재명 대통령의 국정 운영에 대해서는 긍정 평가(잘함+매우 잘함)가 57%, 부정 평가(못함+매우 못함)가 34%로 집계됐다. 국정 방향성에 대한 평가도 긍정 55%, 부정 37%로 비슷한 흐름을 보였다. 정당 지지도는 더불어민주당 41%, 국민의힘 22%, 개혁신당과 조국혁신당이 각각 3%로 조사됐다.
한미 관세 협상과 관련해선 국민 여론이 뚜렷하게 갈렸다. "관세율을 낮추지 못하더라도 현금성 직접 투자는 부적절하다"는 응답이 55%로 과반을 넘었고, "투자를 해서라도 관세를 낮추는 게 적절하다"는 의견은 29%에 그쳤다. 단기적인 관세 인하 효과보다 재정 건전성과 장기적 국익을 우선해야 한다는 인식이 우세한 것으로 풀이된다.
최근 사회 의제로 떠오른 주 4.5일 근무제에 대해서는 반대 의견이 63%로 찬성(32%)의 두 배 가까이 많았다. 특히 60대 이상에서는 반대가 78%에 달했다. 직업별로는 주부·자영업자·블루칼라 노동자층에서 부정적 반응이 강했다. 정치 성향별로는 민주당 지지층은 찬반이 비슷했지만, 국민의힘 지지층은 86%가 반대 입장을 보였다.
이번 조사의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 ±3.1%P다. 응답률은 15.6%를 기록했고 올해 8월말 행정안전부의 주민등록인구 통계를 기준으로 지역별·성별·연령별 가중치를 부여했다. 설문조사에 관한 자세한 내용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 참조하면 된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