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상호관세 효과가 처음 반영된 8월 고용지표가 충격적인 수준으로 나빠졌다는 소식에 뉴욕증시의 3대 주가지수가 나란히 장중 사상 최고가를 찍은 뒤 하락했다. 금리 인하 기대보다 경기침체 우려가 더 컸던 탓이다.
5일(현지 시간) 뉴욕증시에서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 거래일보다 220.43포인트(0.48%) 하락한 4만 5400.86에 거래를 마쳤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 지수는 20.58포인트(0.32%) 내린 6481.50에, 나스닥 종합지수는 7.31포인트(0.03%) 떨어진 2만 1700.39에 각각 장을 마감했다. 3대 주가지수는 이날 장 초반 일제히 사상 최고치로 출발했다가 장중 차익실현 매물이 쏟아지면서 하락세로 전환했다.
시가총액 상위 기술주 가운데는 2분기 호실적을 발표한 브로드컴이 9.41% 급등한 것을 비롯해 메타(0.51%), 구글 모회사 알파벳(1.16%), 테슬라(3.63%) 등이 상승했다. 반면 엔비디아(-2.70%)와 마이크로스프트(-2.55%), 아마존(-1.42%), 넷플릭스(-1.09%) 등은 하락했다.
이날 뉴욕 증시가 장중 상승과 하락을 반복한 것은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의 상호관세 효과에 따른 고용 악화 현상이 뚜렷해지면서 금리 인하 기대와 경기침체 우려가 뒤섞였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이날 미국 노동부는 8월 비농업 부문 신규 고용이 2만 2000명이라고 발표했다. 이는 다우존스가 집계한 전문가 전망치(7만 5000명)를 크게 밑돈 수치다. 6∼7월 고용 증가 폭은 종전 발표 수치보다 총 2만 1000명 하향 조정됐다. 6월 고용이 2만 7000명 증가에서 1만 3000명 감소로 하향 조정됐고, 7월 고용은 7만 3000명 증가에서 7만 9000명 증가로 상향 조정됐다. 실업률은 7월 4.2%에서 8월 4.3%로 상승해 전문가 예상치에 부합했다.
이날 보고서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지난달 고용보고서 발표 직후 에리카 맥엔타퍼 전 노동통계국장을 전격 경질하고 보수 성향 싱크탱크인 헤리티지 재단의 수석 이코노미스트 EJ 앤토니 신임 국장을 지명한 뒤 처음 나온 지표다. 현 노동통계국장은 빌 비아트로우스키 부국장이 대행을 맡고 있다.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은 지난달 22일 잭슨홀미팅(연례 경제정책 심포지엄) 연설에서 “노동 공급과 수요 모두가 뚜렷하게 둔화한 데서 비롯된 특이한 균형”이라고 진단한 바 있다.
이날 시카고상품거래소(CME) 페드워치에 따르면 연방기금금리 선물 시장은 9월 기준금리가 25bp 인하될 확률을 91.8%로 반영하면서 ‘빅컷(0.5%포인트 금리 인하)’ 확률도8.2%로 새로 잡았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