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상계엄 해제 표결을 방해했다는 의혹을 받고 있는 추경호 전 국민의힘 원내대표가 4일 “전혀 사실이 아니며 근거 없는 정치 공작”이라며 정면 대응에 나섰다. 추 전 원내대표는 비상계엄 사전 인지 의혹과 계엄 해제 표결 방해 의혹 모두를 전면 부인했다.
추 전 원내대표는 이날 국회에서 기자 간담회를 열고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의힘에 대한 정치 탄압을 위해 표결 방해라는 날조된 프레임을 짜고 특검에 억지로 끼워 맞추기 수사를 주문하고 있다”고 밝혔다. 그는 ‘비상계엄 당일 원내 대응 상황 사실관계’ 자료를 배포하고 자신에 대한 의혹을 해명했다.
비상계엄 사전 인지 의혹에 대해 “저 포함 국민의힘 의원 누구도 사전에 비상계엄을 몰랐다”고 일축했다. 그는 지난해 12월 2일 발송한 ‘전국 당원협의회 공문’을 제시하며 “4일 규탄대회를 열기 위해 2일 저녁 무렵 전국 시도당과 각 지구당에 규탄대회 참석을 요청하는 공문을 보냈다”고 밝혔다. 그는 “국민의힘은 2일 의원총회를 열고 민주당의 의회 폭거와 줄탄핵에 항거하기 위해 가칭 ‘이재명 민주당의 탄핵남발 방탄폭거 규탄대회’를 4일 열기로 결정했다”며 “계엄을 인지했으면 4일 규탄대회 추진을 한다는 것 자체가 말이 되지 않는 일”이라고 설명했다.
의원총회 장소를 여러 차례 변경하는 방식으로 다른 의원들의 계엄 해제 표결 참여를 방해했다는 의혹에 대해서도 해명에 나섰다. 그는 최초로 의원총회를 소집했던 곳은 국회였지만 출입 통제로 인해 불가피하게 당사로 장소를 변경한 것이라고 해명했다. 1차로 의원총회 장소를 변경한 것에 대해서는 “최고위원회의 장소가 국회에서 당사로 바뀌었는데 의원총회 장소도 변경해야 하지 않겠느냐는 건의가 있었다”며 “그 건의가 합당하다고 생각해서 변경하게 된 것”이라고 해명했다.
당사에서 다시 국회로 의원총회 장소를 옮긴 것에 대해서는 “1차로 국회 출입 통제가 완화됐다는 이야기를 듣고 장소를 변경한 것”이라며 “당시 당사에 있던 저와 일부 동료 의원들이 함께 국회로 이동했다”고 했다. 장소가 국회에서 당사로 재차 변경된 것에 대해서는 ‘임시 집결 장소의 의미’라고 설명했다. 그는 “국회에 들어오지 못한 의원들에 대한 임시 집결 장소의 의미”라며 “거기서 제대로 된 의원총회를 개최하려는 의미가 아니었다”고 부인했다.
우원식 국회의장과의 통화 내용도 거듭 설명했다. 추 전 원내대표는 “첫 번째 전화에서 우 의장이 본회의 계획을 최초로 저에게 통보했다”며 “한 시간 뒤에 본회의를 개최하겠다고 하니 원내대표로서 직관적으로 의원들이 이동 중에 있고 당사에 일정 수의 의원이 있으니 모이는 시간이 필요하다고 얘기했다”고 했다.
두 번째 통화에서는 “의장이 다시 전화해 본회의를 30분 앞당겨 개최하겠다고 통보했다”며 “저는 당연히 너무 급하지 않느냐, 들어갈 시간을 달라고 얘기했다”고 밝혔다. 그는 출입 통제로 국민의힘 의원들이 국회에 들어가지 못해 의장에게 조치를 요청했으나 의장은 “여당이 경찰에게 요청하라”고 답했다고 전했다.
그는 계엄 해제 요구 결의안이 의결된 뒤 당사로 이동해 정진석 당시 대통령 비서실장과 통화했다고 밝혔다. 추 전 원내대표는 계엄 해제 요구 결의안 도착 여부를 확인하고 신속한 계엄 해제 조치를 촉구했다고 강조했다. 그는 “계엄 해제를 막으려는 의도가 없었다는 것을 보여주는 명백한 사실이자 민주당의 허위 날조 의혹을 무너뜨리는 증거”라고 했다.
국회 본관 원내대표실에 있었지만 계엄 해제 표결에 참여하지 않은 이유에 대해서는 “늘 다수의 총의를 모아서 행동해야 하는 것이 원내대표의 책무”라며 “당시 원내대표실에서 어떻게 대응하면 좋을지 의견을 모아달라고 요청한 상태였고 답을 기다리는 상태였다”고 했다.
추 전 원내대표는 “결론적으로 국민의힘 그 누구도 계엄 관계자와 공모해 계엄 해제 표결을 방해한 사실이 없다”며 “특검에서의 조사 요청이 있다면 당당하게 조사에 임해 사실관계에 대해 소상히 말씀드릴 것”이라고 강조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