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아파트 매매 가격이 상승폭 둔화를 이어갔다. 6·27 부동산 대책 이후 단 한주를 빼고는 8주째 상승폭이 줄어들고 있다. 정부가 확대를 발표한 세컨드홈 대상 지역들의 아파트 매매는 활기를 띠는 모양새다.
한국부동산원이 28일 발표한 8월 넷째 주(25일 기준) 주간 아파트 가격 동향 조사에 따르면 서울 매매 가격 상승률은 지난 주 0.09%에서 이번 주 0.08%로 축소됐다. 6·27 부동산 대책 이후 8월 첫 주 빼고 매주 상승 폭이 줄어들고 있다.
수도권과 지방의 아파트 가격은 각각 0.03% 상승, 0.02% 하락을 유지했다. 전국 상승폭은 0.00%로 보합세를 보였다.
강남 3구의 약세가 뚜렷했다. 강남구는 상승폭이 0.12%에서 0.09%로, 서초구는 0.15%에서 0.13%로, 송파구는 0.29%에서 0.20%로 줄었다. 마용성은 보합세를 보였다. 마포는 상승률이 0.06%에서 0.08%로 성동구는 0.15%에서 0.19%로 증가했으나 용산구는 0.10%에서 0.09%로 줄었다.
한편 정부가 지난 14일 지원 확대를 발표한 세컨드홈 대상 지역의 아파트 가격은 반등하거나 낙폭이 줄어들었다. 구체적으로 전북 익산시는 지난주 대비 0.10% 하락해 전주 0.22%보다 0.12%포인트 낙폭이 줄었고 강원 동해시는 전주 -0.10%에서 +0.01%로 상승 반전했다. 강원 속초시 역시 0.19% 하락에서 0.02% 하락으로 낙폭을 크게 줄였다.
앞서 정부는 1주택자가 인구감소를 겪는 비수도권 지방의 주택을 매입해도 1가구 1주택 특례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내용을 골자로 한 ‘지방 중심 건설투자 보강 방안’을 발표한 바 있다. 기획재정부 관계자는 “연말 세법개정안 처리와 함께 해당 법안을 처리할 방침”이라고 전했다.
서울 전세가격은 0.06% 올라 전주 대비 0.01%포인트 늘어났다. 학군지, 역세권 등 정주여건이 양호한 단지에서 상승 계약이 체결됐기 때문이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