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한미정상회담에서 연내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 만날 의향을 밝힌 가운데 올해 북미정상회담이 열릴 가능성이 있으며 장소는 평양이 될 수 있다는 관측이 나왔다.
26일(현지 시간) 보수 성향 싱크탱크 미국기업연구소(AEI)의 잭 쿠퍼 선임연구원은 서울경제신문과의 e메일 인터뷰에서 “올해 북미정상회담이 열릴 수 있다”며 “미국으로서는 적대국과의 정상회담에 수개월, 심지어 수년의 계획이 필요하지만 미러 알래스카 정상회담에서 보듯 트럼프 행정부는 합의된 성과물 없이도 정상회담을 먼저 개최할 의향이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실제로 이달 15일 트럼프 대통령은 알래스카에서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과 정상회담을 가졌지만 뚜렷한 성과물이 없어 ‘빈손 회담’이라는 평가가 나오고 있다. 다만 쿠퍼 연구원은 “북미정상회담은 이제 북한의 손에 달려 있다”며 “김 위원장이 현재로서는 정상회담에 관심이 있다는 증거는 많지 않다”고 봤다.
트럼프 1기 국가안보보좌관을 지내며 북미정상회담에도 배석했던 존 볼턴 전 보좌관도 이날 한미연구소(ICAS)가 주최한 온라인 세미나에서 “북미 회담이 성사된다면 평양에서 열릴 수 있다”고 말했다. 그는 “지리적 진행을 보면 (그동안의 북미정상회담은) 싱가포르에서 하노이, 비무장지대(DMZ)로 이어졌다”며 “미국 대통령이 김 위원장과의 만남을 위해 가보지 않은 곳은 한 곳이 남았고, 그게 북한의 수도”라고 분석했다.
쿠퍼 연구원은 한미정상회담에 대해 “트럼프 대통령의 회담 전 언급 외에는 큰 이변이 없어 다행”이라고 평가했다. 그러면서도 “무역 협상, 대북 정책, 주한미군 배치 등 몇 가지 까다로운 문제들이 남아 있다는 점은 나쁜 소식”이라고 지적했다. 트럼프 대통령의 주한미군 기지 소유권 이전 언급에 대해서는 “깊은 논리가 있다고 생각하지 않는다”며 “트럼프 대통령은 종종 이런 회담에서 깊은 전략에서 비롯된 것이 아닌, 그저 순간적으로 떠오른 생각을 즉흥적으로 발언한다”고 짚었다. 볼턴 전 보좌관은 “주한미군 기지 소유권 이전은 과거에도 제기된 바 있다. 트럼프 대통령이 부동산 개발업자이기 때문”이라며 “그는 용산 미군 기지가 폐쇄된 후 일부 개발업자들이 막대한 수익을 올린 사례를 잘 알 것”이라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