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 정상회담을 앞둔 이재명 대통령이 24일(현지시간) “최소한 실망을 드리지는 않을 것”이라며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과의 회담에 자신감을 드러냈다. 안보·국방비·관세협상 외 다양한 의제가 다뤄질 것이라고 전한 이 대통령은 “말보다 실천과 결과로 증명 하겠다”고도 했다.
이 대통령은 전날 방일 일정을 마치고 도쿄 하네다 공항을 통해 출국해 미국 워싱턴DC로 향하는 공군1호기 기내에서 취재진을 만나 이 같이 밝혔다. 이 대통령은 이날 이례적으로 기내 간담회를 1시간 가까이 진행하며 방일 성과와 다가올 한미 정상회담의 각오 등을 취재진에 전했다.
이 대통령은 주요 의제 등에 대해 “이 순간에도 실무적 협의는 계속되고 있다”며 “주권국가로서 국민들이 기대하는 바에 최소한 실망을 드리지 않겠다는 책임감을 가지고 있다”고 강조했다. 돌발 언행이 잦은 트럼프 대통령에 대해서도 “대화가 무리하게 진행되지는 않을 것이라는 기대와 예상을 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트럼프 대통령의 저서 ‘거래의 기술’ 읽고 한판승부를 준비하고 있다는 점도 전했다. 그는 “이빨이 흔들릴 만큼 체력적으로 힘든 게 사실이지만 정신적으로는 전혀 힘들지 않고 매우 즐겁다”고 말하기도 했다. 이어 “누군가는 해야할 일이고, 제가 누가 (대통령을)맡았을 때 보다 더 잘할 수 있다고 자부한다”고 이번 한미 정상회담의 자신감을 피력했다.
그러면서도 국제관계와 한반도 지정학적 상황의 입지가 “과거보다 많이 어려워진 게 객관적 사실”이라며 “국익을 지키기 위해 과거보다 몇 배 더 노력이 필요한 상황”이라는 점을 인정했다. 의제에 따로 정해진 제한이 있는 것은 아니라고 전했다. 그는 “필요한 이야기는 다해 볼 생각으로 나쁜 이야기가 아니면 다해 봐야한다”며 적극적인 협상 자세를 강조했다.
미국의 농축산물 개방 요구가 있느냐는 질문에 각 부처 단위로 있다는 점을 인정했다. 이 대통령은 “(FTA가) 체결돼서 각 국가의 국회 승인을 받아 정식 조약으로 도장을 찍은 다음에도 언제든지 바꾸자는 요구가 있을 수 있고, 또 실제 트럼프 1기 때 일부 바꾸기도 했다”며 “지금도 (한미관세)협상 결과가 대한민국에 유리하게 되는 거 아니냐고 생각하는 미국 측 시각이 분명히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바꾸자니까 바꾸겠습니다'라고 할 수는 없는 노릇 아닌가 싶다”며 “합의를 그렇게 쉽게 뒤집거나 바꾸는 건 그리 바람직하지 않다”고 말했다.
이시바 시게루 일본 총리와의 정상 회담과정에서 관세협상 노하우를 공유하며 양 정상은 예정된 시간보다 소인수회담 시간이 더 길어졌다는 후일담도 전했다. 자세한 내용을 전하기는 어렵다면서도 이 대통령은 “소인수 회담이 길어진 이유는 사실 거의 대부분 미국과 협상 이야기를 하느라 지연됐다”며 방미 직전 일본을 방문한 목적이 상당히 달성됐음을 시사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