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일을 앞둔 이재명 대통령이 일본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북핵에 대해 “1단계는 핵과 미사일 동결, 2단계는 축소, 3단계는 비핵화”라며 3단계 한반도 비핵화 구상을 제시했다. 강제징용과 위안부 문제 등 이전 정부의 한일 합의에 대해서는 “국가 간 약속이므로 뒤집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는 입장을 밝혔다.
이 대통령은 21일 보도된 일본 요미우리신문과의 인터뷰에서 “정책적 방향은 한반도의 비핵화”라며 “한국 정부는 미국과 긴밀한 공조를 유지하는 가운데 남북대화를 통해 핵을 동결·축소·폐기까지 갈 수 있는 여건을 만들 것”이라고 말했다. 이 대통령이 비핵화 해법을 직접 언급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남북 관계를 두고서는 “한반도의 평화와 안정은 일본·중국·러시아를 포함한 동북아시아의 평화와 안정을 위해서도 매우 중요하다”며 “협력할 수 있는 길을 찾아내고, 적대감을 완화해나가는 게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어 “‘북극 항로 개척’을 중심으로 미국·러시아·북한·한국·일본이 협력할 수 있는 길을 만들어낼 수 있다”고 자신했다.
방미 직전 일본을 들르는 이례적인 순방 일정을 선택한 이 대통령은 기존 한일 합의도 이어갈 뜻을 내비쳤다. 강제징용 관련 ‘제3자 변제제도’나 위안부 한일 합의에 대해 그는 “한국 국민 입장에서는 받아들이기 어려운 전 정권의 합의”라면서도 “정책의 일관성과 국가 대외 신뢰를 고려하면서, 국민·피해자·유족의 입장도 고려해야 하는 두 가지 책임을 짊어지고 있다”고 밝혔다. 이 대통령은 “김대중·오부치 선언을 잇는 미래지향적 한일 관계를 만들고자 한다”며 “과거를 직시하되 미래로 나아가는 지혜를 발휘하겠다”고 강조했다. 이어 “한국이 조건 없이 먼저 일본을 방문하는 만큼 일본 총리도 시간이 되는 대로 한국을 방문해 수시로 왕래하며 협력하자”고 제안했다.
한일 안보협력 강화도 역설했다. 이 대통령은 “한일과 한미일 공조 또한 지속 강화해나가야 한다”며 “중국·러시아·북한과의 관계 관리도 중요하고 이를 위해서도 한미·한일·한미일 협력은 든든한 토대가 돼야 한다”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