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27 대출 규제 시행 이후 주택사업경기전망지수가 큰 폭으로 떨어졌다. 수도권을 중심으로 매수심리가 급격히 위축되면서 전국적인 하락세가 이어지고 있는 상황이다.
19일 주택산업연구원에 따르면 8월 주택사업경기전망지수는 전월 대비 24.0포인트(p) 하락한 76.0으로 나타났다. 같은 기간 수도권은 57.1포인트(123.7→66.6) 하락했고 서울 71.0포인트(135.1→64.1), 경기 53.0포인트(122.2→69.2), 인천 47.1포인트(113.7→66.6) 순으로 낙폭이 컸다.
지수는 주택사업자를 대상으로 진행한 설문조사로 산출된다. 기준선인 100을 넘으면 주택사업 경기가 좋아질 것으로 보는 업체의 비율이 높다는 것을 뜻하고, 100을 밑돌면 그 반대를 의미한다. 주산연의 한 관계자는 “6·27 대출 규제 시행으로 수도권 매수심리가 급격히 위축되면서 이번 달 지수가 큰 폭으로 하락했다”고 분석했다.
비수도권은 78.0으로 전월 대비 16.9포인트 하락했다. 광역시는 16.6포인트 하락한 82.2를, 도지역 또한 17.1포인트 하락해 74.8로 집계됐다.
주산연의 또 다른 관계자는 “수도권을 중심으로 전국적으로 매수심리가 위축되면서 비수도권도 영향받은 것으로 보인다”며 “특히 미분양 아파트의 80% 이상이 비수도권에 집중돼 있어 회복세가 더딘 상황”이라고 분석했다.
8월 전국 자금조달지수는 전월대비 21.6포인트 하락한 71.2로 전망됐다. 대출이 총량 관리 대상에 포함되면서 사업자들의 대출 공급 계획이 축소된 영향이다. 원·달러 환율 상승 등에 따른 요인으로 자재수급지수는 6.8포인트 하락한 93.2로 나타났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