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교진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 후보자가 첫 출근길에 교육 정상화와 지역균형발전을 목표로 교육 현장의 목소리를 최대한 듣겠다는 포부를 밝혔다.
최 후보자는 14일 오전 서울 영등포구 여의도 한국교육시설안전원에 마련된 인사청문회 준비 사무실로 출근하면서 취임 이후 가장 역점을 두고 추진하고 싶은 정책이 무엇이냐는 취재진의 질문에 “매우 빠르게 변화하고 있는 새로운 시대를 이끌어갈 수 있는 인재를 기르는 것이 가장 우선순위"라고 답했다. 그러면서 “훌륭한 인재가 특정 분야에 쏠리지 않고 모든 학문이 고르게 발전할 수 있도록 노력하고 이를 위한 대학 혁신도 필요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유초중고 현장에서 나타나는 많은 현안과 문제들을 해결하는 것도 중요하다"면서 교권 침해, 유보 통합 문제, 고교학점제 등을 언급했다. 그러면서 “우선순위를 정해 하나하나 빠르게 보완하고 당사자들과 논의해서 해답을 찾겠다”고 덧붙였다.
최 후보자는 또한 고등교육에 대한 경험 부족 지적과 관련해 “사실이다”라고 인정하면서도 “교육은 유초중고등 교육을 포함한 전반적인 시스템이 하나로 연결되어 있다고 본다"면서 “정부의 핵심 과제인 서울대 10개 만들기 역시 결국은 교육의 정상화와 균형발전을 위해서 나온 것이 아닐까 싶다”고 말했다. 이어 “전문성이 떨어진다고 (우려)하면 한국대학교육협의회 등 관련 전문가들과 지속적으로 협의하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인공지능(AI) 교육에 대한 질문에 대해서는 “아이들이 AI와 함께 살아가고 있는 현실에서, 창의적이고 주도적으로 AI를 활용할 수 있는 능력을 키우는 것이 중요하다”면서 체험 중심 교육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최 후보자는 이날 후보자 지명 소감에 대해서는 “새로운 정부와 함께한다는 영광보다 무거운 책임감이 앞선다”며 “산적한 문제들에 대해 낮은 자세로 경청하면서 교육공동체와 함께 지혜를 모을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이어 “교육부의 유능한 직원들과 함께 현장의 목소리를 경청하고 해답을 모색해 나가겠다”고 전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