닷새간 휴가에서 복귀한 이재명 대통령이 9일 “앞으로 모든 산재 사망 사고는 최대한 빠른 속도로 직보하라”고 긴급 지시했다.
전날 경기도 의정부의 한 신축 아파트 공사 현장에서 안전망 철거 작업 중이던 50대 노동자가 추락해 숨지는 사고가 발생하자 재발 방지 대책 수립은 물론 보고 체계까지 손질하려는 것이다.
강유정 대통령실 대변인은 이날 예정에 없던 브리핑을 자처해 “국정상황실을 통해 공유·전파하는 현 체계는 유지하되 대통령에게 좀 더 빠르게 보고하는 체계를 갖추라는 것”이라며 이같이 밝혔다.
이어 “고용노동부에는 산재 사고 방지를 위한 사전, 사후 조치 내용과 현재까지 조치한 내용을 (다음 주) 화요일 국무회의에 보고할 것을 (별도) 지시했다”고 전했다.
강 대변인은 “두 가지 조치는 산재 사망을 획기적으로 줄이겠다는 이 대통령의 강한 의지로 풀이된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일하러 나간 노동자들이 다치거나 목숨을 잃는 일이 더는 없도록 세계 10위 경제 강국의 위상을 노동자의 안전으로 증명하겠다”고 강조했다.
강 대변인은 ‘현재 보고 체계가 느리다는 문제 의식을 가지고 있으냐’는 질문에 “현재 언론 보도를 보고 사고를 인지하는 경우가 많이 있다”며 “사고 (관련) 보고 체계 자체를 상시적으로 체계화하는 것에 방점이 찍혔다고 보면 된다”고 답변했다.
한편 23일 한일정상회담과 25일 한미정상회담을 추진 중이라는 국내외 언론 보도에 대해서는 “아직은 (상호) 교감 속에 일정을 조율 중”이라며 “일정이 확정되는 대로 공지하도록 하겠다”고 했다.
8·15 광복절 특별사면 대상에 조국 전 조국혁신당 대표와 윤미향 전 더불어민주당 의원 등이 포함된 것으로 알려지자 국민의힘이 “즉각 중단하라”고 거세게 반발하는 데는 “화요일 국무회의를 거쳐 최종적으로 사면 대상자 명단이 나올 때 윤곽이 드러날 것”이라고 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