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공감미료가 들어간 다이어트 음료가 설탕이 첨가된 음료보다 당뇨병 발생 위험을 더 크게 높인다는 연구 결과가 발표됐다.
4일(현지 시간) 과학전문매체 사이언스얼러트에 따르면 호주·네덜란드 공동연구진이 40~69세 호주인 3만6608명을 14년간 추적 관찰한 결과 하루 한 캔의 다이어트 음료를 섭취하는 것만으로도 제2형 당뇨병 위험이 38%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같은 조건에서 설탕이 첨가된 음료를 마신 참가자의 당뇨병 위험 증가율은 23%에 그쳤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당뇨병과 대사’에 게재됐다.
연구에 따르면 설탕 첨가 음료 섭취자는 체중 증가와 함께 당뇨병 위험이 높아진 반면 다이어트 음료 섭취자는 체중 변화 없이도 당뇨병 위험이 지속적으로 상승했다.
연구를 주도한 호주 모나시대 로벨 후센 캅티머 영양학자는 “인공감미료 자체가 혈당에 직접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연구진은 대표적 인공감미료인 아스파탐이 설탕과 동일한 인슐린 반응을 일으키며 장내 세균 균형을 깨뜨려 ‘포도당 불내성’을 증가시킨다고 분석했다.
호주 왕립멜버른공과대 바르보라 드 쿠르텐 생의학자는 “인공감미료는 당뇨병 위험이 높은 사람들에게 더 건강한 대안으로 권장되고 있지만 이번 연구 결과는 인공감미료 자체가 건강에 해로울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고 경고했다.
한편 최근 다른 연구에서도 인공감미료가 뇌 손상과 심장병을 유발할 수 있다는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