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에서 삼성페이나 중국의 알리페이 등과 비슷한 전자 결제 시스템이 빠르게 확산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김정은 국무위원장 주도로 개발된 전자지갑이 상용화되면서 평양 시내에서는 현금 결제가 점차 사라지고 있으며 이는 주민 편의 증진과 함께 자금 흐름을 100% 감시하려는 당국의 통제 강화 의도가 깔린 것으로 분석된다.
재일본조선인총연합회 기관지 조선신보는 7일 보도를 통해 "평양의 상업 봉사 시설들에서 현금으로 결제하는 구매자들의 모습을 찾아보기 어렵게 되었다"며 "손전화기(휴대폰)에 의한 전자 지불 봉사가 평양에서도 주류로 되어가고 있다"고 전했다. 보도에 따르면 시민들은 식당과 상점은 물론 대중교통 요금까지 스마트폰으로 결제하고 있다.
북한의 전자 결제 시스템은 '전성'이라는 이름으로 코로나19 확산이 본격화된 2020년 중앙은행과 평양정보기술국이 함께 개발했다. 당시 북한은 이 시스템이 화폐 유통을 안정시키고 지폐를 통한 바이러스 및 세균 전파를 막는 위생적 이점이 있다고 선전한 바 있다.
전자 결제 인프라 확충도 뒤따르고 있다. 조선신보는 지난해 10월 한국의 카카오뱅크와 유사한 인터넷 은행 '화원전자은행'이 영업을 시작했다고 전했다. 이 은행은 평양을 비롯한 주요 도시의 백화점, 병원, 약국 등에 현금자동입출금기(ATM)를 설치했으며 이용자 수가 꾸준히 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전문가들은 북한 당국이 전자 결제 확산에 공을 들이는 근본적인 이유를 감시와 통제에서 찾고 있다. 현금과 달리 모든 거래 기록이 남는 디지털 방식은 당국이 주민들의 자금 흐름을 100% 추적할 수 있게 해준다. 이를 통해 비공식 경제(장마당)를 제도권 안으로 흡수하고 노동당의 경제·사회 통제력을 한층 강화하려는 의도가 깔려있다는 분석이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