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은경 보건복지부 장관이 7일 "의료계와 정부 간 갈등이 1년 반 동안 지속되면서 많은 불안과 불편을 겪으신 국민과 환자 여러분께 진심으로 죄송하다"고 말했다.
정 장관은 이날 오후 서울 강남구 삼성생명 일원역 빌딩에서 환자·소비자단체 대표자 등을 만나 "특히 그간의 의료 현장에서 많은 불편을 겪으셨던 환자와 가족 여러분께 깊은 사과 말씀을 드린다"며 이같이 밝혔다.
정 장관은 국민, 의료계와의 신뢰 회복을 최우선의 과제로 꼽으며 "국민 중심의 논의를 바탕으로 지역·필수·공공 의료를 확실하게 강화하겠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환자의 안전과 권리를 강화하기 위한 법적, 제도적 기반을 마련하고 환자의 알 권리, 안전하게 진료받을 권리가 실제 현장에서 구현될 수 있도록 하겠다”며 “국민의 의견을 경청하고, 의료현장과 긴밀히 소통, 협력해 안전하고 신뢰받는 의료제도 정착을 위해 노력하겠다”고 강조했다.
이날 만남은 정 장관이 삼성서울병원 지역 환자안전센터를 방문해 환자안전 정책 추진 현황을 점검하고, 환자 안전 및 권리 강화에 관한 현장의 목소리를 듣기 위해 마련됐다. 간담회에는 윤명 소비자시민모임 사무총장, 김성주 중증질환연합회 대표, 이은영 환자단체연합회 이사, 정지연 한국소비자연맹 사무총장, 정진향 희귀난치성질환연합회 사무총장 등이 참석했다.
복지부는 이날 오전 대한전공의협의회 등과 제3차 수련협의체 회의를 열고 정부가 사직 전공의들이 이전에 근무하던 병원에 같은 과목·연차로 복귀할 수 있는 길을 터줬다. 수련병원에서 자율적으로 정원을 결정하고, 초과 정원이 발생하면 인정해주기로 방침을 정하면서다. 또 복귀 전공의들이 수련을 마친 뒤 군에 입대할 수 있도록 최대한 배려하고, 수련 도중 입대하게 되면 제대 후 복귀할 수 있도록 사후 정원을 인정해주기로 했다.
일각에선 정부가 의대생에 이어 사직 전공의들에게 특혜를 부여한다며 곱지 않은 시선을 보낸다. 이날 간담회 참석자들은 “환자를 중심에 둔 의료이용 체계 마련을 위해 힘써달라”라고 당부하며 “의료공백에 따른 피해조사와 지원, 환자 안전과 권익 강화 등을 위한 기반이 필요하다”는 의견을 제시했다.
한편 정 장관은 간담회 시작에 앞서 '복지부가 사직 전공의들이 기존 병원에 복귀할 경우 초과 정원을 인정해주기로 한 것이 특혜 아니냐'는 취재진 질문에 "오늘은 환자 간담회가 먼저"라며 즉답을 피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