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의 민생회복 소비쿠폰을 사용할 수 없는 연 매출 30억원 초과 업장에서도 매출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정책 대상이 아님에도 소비 심리 회복에 따른 반사이익을 본 셈이다.
7일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허영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8개 카드사(신한·삼성·현대·국민·롯데·하나·우리·BC)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소비쿠폰 지급일(7월 21일) 직후인 22일부터 일주일간 카드사 합산 결제액은 14조8413억원으로, 전주 대비 12.9% 증가했다.
특히 식당, 편의점, 커피전문점, 병원, 학원, 주유소, 안경점 등 7개 업종에서 연 매출 30억원을 초과하는 대형 사업장의 카드 매출은 1조2949억원에서 1조3568억원으로 4.8% 증가했다. 쿠폰 사용이 제한된 업장이지만 소비가 함께 늘어난 것이다.
30억원 초과 점포의 업종별 매출 증가율은 안경점이(23.1%)로 가장 컸고, 이어 커피전문점(8.4%), 주유소(6.7%), 식당(5.5%) 순이었다.
반면, 정부의 주요 타깃인 연 매출 30억원 이하 소규모 점포들의 매출은 이보다 더 크게 증가했다. 같은 기간 매출은 8.7% 증가해 2조1485억원에서 2조3346억원으로 늘어났다.
업종별로는 안경점이 40.7%로 가장 큰 폭으로 늘었고 주유소(11.5%), 커피전문점(10.4%), 편의점(7.7%), 식당(7.1%) 등이 뒤를 이었다. 정부 정책이 영세·중소상공인에게 집중된 만큼 효과도 더 뚜렷하게 나타난 것으로 보인다.
한편 소비쿠폰 사용이 제한된 대형마트에서는 오히려 매출이 줄었다. 연 매출 30억원 이하 대형마트 점포는 전주 대비 10.6% 감소했고, 초과 점포도 2.6% 줄었다. 쿠폰 사용 가능 업종으로 소비가 이동한 영향으로 분석된다.
허 의원은 “민생 추경 집행 전후로 소비 심리 개선 효과가 뚜렷하게 나타나고 있다"며 "소비쿠폰의 성과가 경기 회복과 성장의 선순환에 기여하도록 추가 대책을 마련할 것"이라고 전했다.
행정안전부에 따르면 민생회복 소비쿠폰은 지난 5일 기준 전체 국민의 93.6%인 4736만 명에게 지급됐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