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일 기록적인 폭염이 기승을 부리면서 문을 열어둔 채 에어컨을 가동하는 '개문 냉방' 영업이 사회적 문제로 떠오르고 있다. 에너지 낭비와 도시 열섬 현상 악화의 주범으로 지목되지만 상인들은 "손님을 놓칠 수 없다"며 고충을 토로하고 있어 논란이 이어지고 있다.
개문 냉방은 에너지 낭비의 대표적 사례로 꼽힌다. 한국에너지공단에 따르면 개문 냉방 시 전력 소비량은 문을 닫고 영업할 때보다 66%가량 증가하고 전기요금 부담도 33%가량 늘어난다.
에어컨 실외기에서 뿜어져 나오는 뜨거운 바람은 도심 전체 기온을 높여 도시 열섬 현상을 더욱 악화시키는 요인이 되기도 한다.
이러한 문제에도 불구하고 소상공인들은 '어쩔 수 없는 선택'이라고 항변한다. 한 상인은 "문을 닫아 놓으면 손님들이 영업을 안 하는 줄 알고 그냥 지나치기 일쑤"라며 "전기료가 부담되는 건 사실이지만 매출 감소를 막기 위해 울며 겨자 먹기로 문을 열어두고 있다"고 말했다.
개문 냉방은 '에너지이용합리화법'에 따라 단속 대상이며 위반 시 최대 300만 원의 과태료가 부과될 수 있다. 하지만 현장 단속은 사실상 전무한 상황이다.
산업부는 통상 전력 예비율이 10% 이하로 떨어질 경우에 지자체에 단속을 권고해왔다.
하지만 산업부 관계자는 "영업권을 제한할 수 있는 사안인 만큼 신중하게 접근하고 있다"고 밝혀 정부가 소극적인 태도를 보이고 있다.
이에 따라 개문 냉방 문제 해결은 자발적인 캠페인에 의존하고 있는 상황이다. 한국에너지공단은 소상공인연합회와 함께 '문 닫고 냉방' 캠페인을 전개하며 전국 약 2만 개 매장에 홍보 스티커와 실천 가이드를 배포했다.
에너지공단 관계자는 "폭염이 장기화될수록 '문 닫고 냉방' 실천이 전력 수요 안정에 큰 도움이 된다"며 "소상공인과 시민 모두의 동참이 절실하다"고 강조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