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계 휴가 중인 이재명 대통령이 후속 인선이 멈춰 있는 교육부와 여성가족부 장관 후보군을 놓고 고심을 이어가고 있다. 이미 한 차례 후보자들이 낙마한 자리인 만큼 인사 기준이 더 엄격해질 수밖에 없지만, 장관 공백이 너무 길어지는 상황을 막기 위해 인선을 서둘러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온다. 대통령실은 후보자의 경력과 출신 지역, 성별, 도덕성까지 두루 살피며 꼼꼼하게 자질과 능력을 검증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7일 정치권에 따르면 대통령실은 이 대통령이 지명 철회한 이진숙 전 교육부 장관 후보자의 후임으로 새 후보자에 대한 검증을 진행 중이다. 이재명 정부의 국정 운영 철학을 뒷받침할 교육 철학을 갖고 있으며 도덕성을 갖춘 인물이 대상이다.
이름이 오르내리는 인사 중에는 국회 교육위원회에서 활동한 정치인이 많다. 5선의 안민석 전 더불어민주당 의원과 강민정 전 민주당 의원, 국회 교육위원장인 김영호 민주당 의원 등이 거론된다. 이와 더불어 백승아 민주당 의원과 강경숙 조국혁신당 의원 등도 하마평에 올랐다. 박경미 전 민주당 의원도 언급되는 후보 중 하나다.
교육계 인사 중에선 박백범 전 교육부 차관이 유력하게 거론된다. 박 전 차관은 특히 충청권 출신이라는 점에서 ‘지역 안배’를 고려했을 때 적절한 후보라는 평가가 나온다. 현 정권의 1기 내각에서 충청권 출신은 윤석열 정부에서 유임된 송미령 농림축산식품부 장관이 유일하다. 차정인 전 부산대 총장도 교육부 장관 후보자로 언급된다.
국회 교육위원회 관계자는 “임명된 장관들 중 충청권 출신이 거의 없긴 하지만 국무총리실 주요 인사가 모두 충청권에서 발탁되면서 지역 안배에 대한 부담이 줄었을 수 있다”며 “(이 대통령이) 기성 정치인과 관료 중 누가 더 나을 지 평가할 것 같다”고 설명했다.
여가부 장관 후보자 인선에도 정치권 관심이 쏠린다. 강선우 민주당 의원이 갑질 논란 및 거짓 해명 논란 끝에 자진 사퇴한 만큼 이 대통령으로선 후속 인선에 대한 부담이 커진 상황이다. 성평등가족부로 확대·개편이 예정된 여가부의 혁신을 이끌 추진력을 갖춰야 한다는 점도 고려 대상이다.
현재 여가부 장관 후보자로 거론되는 인사는 대부분 여당 정치인이다. 권인숙 전 민주당 의원과 남인순 민주당 의원, 서은숙 전 최고위원과 정춘숙 전 민주당 의원 등이 대상이다. 국회 여성가족위원회 여당 간사인 김한규 의원은 남성 정치인 중 유일하게 후보로 언급되고 있다.
역대 여가부 장관들은 현역 국회의원부터 여성학계 교수까지 출신 배경이 다양했다. 박근혜 정부에선 3명의 여가부 장관 모두 정치인이었고 문재인 정부에선 진선미 의원을 제외하고는 모두 교수 출신이었다. 윤석열 정부에서 여가부 장관을 지낸 김현숙 전 장관도 교수 출신이다. 이에 여가부 장관 후보자로는 배경보다 리더십과 도덕성 등이 중요하게 작용할 것이란 분석도 나온다.
다만 여성 장관 비율이 낮다는 점이 변수가 될 수 있다. 이 전 후보자와 강 전 후보자가 연이어 낙마하면서 현재 19개 부처 중 여성 장관은 3명에 불과하다. 교육부와 여가부 장관을 모두 여성으로 지명해야 당초 목표한 ‘여성 장관 비율 30%’를 간신히 맞출 수 있다. 이런 가운데 여가부 장관을 남성에게 맡기기 쉽지 않다는 시각도 짙다.
대통령실 관계자는 “지금까지 미국과의 관세 협상에 대통령실 업무가 몰려 있었던 데다 앞으로도 한미정상회담과 국민임명식 등 주요 현안이 예정돼 있어 인선이 언제 이뤄질지 예상하기 어렵다”고 밝혔다. 일각에선 후보자 지명과 인사청문회 등 절차를 밟고 최종적으로 장관이 임명되려면 9월로 넘어갈 수 있다는 관측을 내놓고 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