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의 관세 정책으로 고용, 제조업에 이어 미국 서비스업 업황까지 부진에 빠진 것으로 드러났다. 관세 불확실성에 따른 경기 악화 신호가 곳곳에서 감지되면서 금융 시장에서는 스태그플레이션(경기침체 속 물가 상승) 우려가 고개를 들고 있다.
5일(현지 시간) 미국 공급관리협회(ISM)는 7월 미 서비스업 구매관리자지수(PMI)가 6월(50.8)보다 0.7포인트 하락한 50.1로 집계됐다고 밝혔다. 이는 다우존스가 집계한 전문가 전망치(51.1)도 밑도는 수준이다. 더욱이 PMI 하위 지수 중 가격 지수는 69.9로 전달보다 2.4포인트 상승했다. 이는 지난 2022년 10월 70.7 이후 가장 높은 수치다.
PMI는 기업의 구매·공급 담당 임원들을 상대로 신규 주문, 재고, 고용 여건 등을 설문한 결과를 지수화한 경기지표다. 50보다 크면 확대 국면을, 50보다 작으면 위축 국면을 뜻한다. 서비스업은 미국 경제의 3분의 2 이상을 차지하기에 해당 지표의 둔화는 미국 경제 전체 전망을 대변하는 역할도 한다. 이런 까닭에 ISM의 서비스업 PMI가 나온 이후 이날 뉴욕 3대 증시도 일제히 꺾였다.
스티브 밀러 ISM 조사위위원회의 의장은 “고용 지수의 지속적인 수축과 가격 지수의 빠른 확장이 우려된다”며 “설문 대상자들이 말한 가장 공통적인 주제는 여전히 관세의 영향이었고 가격이 상승했다는 상품이 눈에 띄게 증가했다”고 말했다.
최근 트럼프 행정부 관세 불확실성으로 나빠진 경기 지표는 이뿐만이 아니다. 지난 1일 미국 노동통계국(BLS)은 7월 미국의 비농업 부문 일자리가 전월 대비 7만 3000명 늘었다고 공표했다. 이는 올해 평균치(13만 명)의 거의 절반 수준이었다. 블룸버그가 집계한 시장 예상치(10만 4000명)도 크게 밑도는 수치였다. 게다가 이 고용보고서는 6월 비농업 부문 일자리는 기존 14만 7000명에서 1만 4000명으로, 5월은 14만 4000명에서 1만 9000명으로 하향 조정해 시장에 큰 충격을 줬다.
여기에 같은 날 발표된 미국 제조업 지표도 5개월 연속 위축된 것으로 나타나 경기 침체 불안을 부추겼다. ISM은 7월 제조업 PMI가 48.0을 기록해 6월(49.0)보다 1.0포인트 낮아졌다고 밝혔다. 트럼프 대통령은 7월 고용 보고서가 발표된 당일 “조 바이든 정부 인사가 숫자를 조작했다”며 에리카 맥엔타퍼 노동통계국장을 전격 경질하기도 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