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월 금리 인하 기대로 전날 반등했던 뉴욕 증시가 관세에 따른 미국 서비스 업황 악화와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반도체·제약 추가 관세 예고에 일제히 하락했다.
5일(현지 시간)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 거래일보다 61.90포인트(0.14%) 내린 44,111.74에 장을 마쳤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와 나스닥종합지수는 전장보다 30.74포인트(0.49%), 137.03포인트(0.65%) 하락한 6299.20, 2만 916.55에 각각 거래를 마감했다.
시가총액 상위 종목 가운데서는 저가 매수세가 유입되는 아마존(0.99%)을 제외한 대다수 기술주가 하락했다. 시총 1위 기업 엔비디아가 0.97% 내린 것을 비롯해 마이크로소프트(1.47%), 애플(0.21%), 메타(1.66%), 브로드컴(1.61%), 구글 모회사 알파벳(0.19%), 테슬라(0.17%), 넷플릭스(1.97%) 등이 모조리 내리막을 탔다. 전날 장 마감후 호실적을 발표한 인공지능(AI) 기반 데이터 분석 소프트웨어 업체 팔란티어의 주가는 7.85%나 치솟았다. 전력 관리 기업 이튼은 3분기 실적 전망이 시장 기대치를 밑돌면서 7.36% 추락했다.
이날 증시 하락에는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여파로 서비스업 업황까지 부진에 빠졌다는 소식이 결정타가 됐다. 이날 미국 공급관리협회(ISM)는 7월 미 서비스업 구매관리자지수(PMI)가 6월(50.8)보다 0.7포인트 하락한 50.1로 집계됐다고 밝혔다. 이는 시장 기대치도 밑돈 수준이다. 여기에 트럼프 대통령이 이날 CNBC와 인터뷰에서 “다음주 반도체와 의약품에 대한 품목 관세를 발표할 것”이라고 말한 점도 증시에 이중 부담을 줬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