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도권 부동산 시장에서 ‘오션뷰(Ocean View)’ 조망 특화를 갖춘 주거단지가 주목받고 있다. 높은 희소가치를 중심으로 상대적으로 높은 주거 가치를 평가받으며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다.
‘오션뷰’는 바다나 거대한 호수를 바라볼 수 있는 전망을 갖춘 곳을 일컫는다. 호텔이나 리조트에서 볼 수 있는 바다 조망을 내 집에서 언제나 누릴 수 있다는 점에서 주택 수요자들의 선호도가 상당히 높은 편이다.
이러한 조망 특화를 갖춘 주거단지는 집값 상승에도 유리한 모습을 나타내고 있다. 다른 곳보다 높은 희소가치를 보유하고 있기 때문이다. 오션뷰 등 조망 특화를 원하는 주택 수요자들은 많다. 하지만 이러한 입지조건을 충족하는 곳은 극소수에 불과하다. 이 같은 특징으로 조망 특화를 갖춘 주거단지는 높은 집값 상승률을 보이며 해당 지역의 부동산 시장을 주도하고 있다.
부동산 전문가들은 “조망 특화를 갖춘 주거단지는 그 입지 자체가 물리적으로 한정돼 있어 시간이 갈수록 희소성과 프리미엄이 점점 더 높아질 수밖에 없다”며 “주거에 대한 소비자들의 눈높이가 높아지면서 조망이 주거 가치에 미치는 영향력은 더욱 확대될 것”이라고 말했다.
- 41층 높이로 바라보는 인천 바다…오션뷰 조망 특화(일부 세대) 돋보이는 신축 주상복합단지!
이런 가운데, 인천 중구 신흥동에서 오션뷰 수혜가 기대되는 주상복합단지가 등장해 관심이 쏠리고 있다. 라온건설의 ‘숭의역 라온프라이빗 스카이브’가 바로 그 주인공으로 8월 분양 예정이다.
‘숭의역 라온프라이빗 스카이브’는 41층의 높이로 조성돼 탁 트인 조망권을 확보했다. 특히 인천 내항을 중심으로 수려한 오션뷰 조망(일부 세대)도 누릴 수 있다는 점이 주목된다. 수도권에서 바다 조망이 확보된 주거단지를 찾아보기 힘든 만큼, 높은 희소성에 따른 주거 가치 상승이 기대되는 대목이다.
이 단지는 인천광역시 중구 신흥동3가 일원에 위치하며, 지하 5층~지상 41층 4개동, 아파트 전용 59·84㎡ 총 440세대 중 170세대가 일반분양될 예정이다. 오피스텔은 전용 44㎡ 168실 규모로 조성될 예정이다.
- 수인분당선 숭의역 초역세권, 모든 학군 도보권 ‘원스톱 학세권’, 대형 개발 호재 수혜까지
우수한 교통환경도 돋보인다. 수인분당선 숭의역이 도보 약 5분 거리에 자리한 초역세권으로 서울 강남, 수원, 성남 등 수도권 주요 지역을 환승 없이 한 번에 이동할 수 있다. 또 숭의역에서 두 정거장 떨어진 송도역에 인천발KTX가 오는 2026년 운행될 예정이다. 여기에 인천 송도에서 서울역, 청랑리역 등을 연결하는 GTX-B 노선까지 추진되고 있다. 이밖에 수도권제2순환고속도로와 경인고속도로의 거리도 인접해 차량 이동도 수월하다.
교육 환경도 눈길을 끈다. ‘숭의역 라온프라이빗 스카이브’는 100m 이내 거리에 신광초교가 자리하고 있다. 이와 함께 송도중, 신흥중, 광성중·고, 인천중앙여고 등의 다양한 학군이 도보권에 위치해 안심 통학 환경이 마련돼 있다.
생활 인프라도 풍부하다. ‘숭의역 라온프라이빗 스카이브’ 인근에는 이마트, 홈플러스 등 대형 유통시설과 함께 행정복지센터, 중구청, 인천세무서 등 공공기관이 위치한다. 특히 단지 도보 10분 거리에는 인하대병원이 자리하고 있어, 양질의 의료서비스도 누릴 수 있다. 여기에 단지 반경 1.5㎞ 내에는 인천세관역사공원, 자유공원 등 풍부한 녹지공간과 인천시립도원체육관, 인천축구전용경기장 등 체육·문화시설도 자리하고 있다.
대형 개발 호재로 인한 미래가치도 기대된다. 단지 옆 인천 내항을 중심으로 추진되는 ‘제물포 르네상스 복합개발사업’이 대표적이다.
‘제물포 르네상스 복합개발사업’은 오는 2040년까지 3단계에 걸쳐 추진될 예정이다. 인천시는 이곳이 원도심과 문화관광, 산업경제, 내항개발 등 4가지 복합개발을 통해 미래형 도시로 탈바꿈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특히 이 사업의 핵심인 ‘인천항 내항 1·8부두 재개발 사업’이 주목된다. 내항 1·8부두 약 42만9,000㎡ 부지에 주거, 상업, 문화 복합 시설을 2028년까지 조성하는 것을 목표로 향후 인천을 대표하는 해양 도심 공간으로 탄생될 전망이다.
한편, ‘숭의역 라온프라이빗 스카이브’ 견본주택은 인천광역시 남동구 구월동 일원에 마련될 예정이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