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모닝 브리핑]은 서울경제가 전하는 글로벌 소식을 요약해 드립니다.
美 "거의 확정된 세율"…캐나다, 스위스 '막판 뒤집기' 나선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가 최근 확정한 상호관세가 협상을 통해 인하할 가능성이 거의 없다고 밝히며 강경 기조를 이어가고 있습니다. 30%가 넘는 고율 관세를 받은 캐나다와 스위스가 막판 뒤집기 협상에 나선 가운데 나렌드라 모디 인도 총리는 국민들에 국산품을 구매하라고 촉구하며 미국과 인도 사이에 냉기류가 흐르고 있습니다.
제이미슨 그리어 미 무역대표부(USTR) 대표는 CBS와의 인터뷰에서 ‘약 70개국에 대한 상호관세율이 인상됐다. 며칠 안에 세율 인하 협상이 진행되느냐’는 질문에 “그렇지 않다. 많은 것들이 합의에 따라 고정된 세율”이라며 “이들 관세율은 거의 확정적”이라고 못 박았습니다. 그는 캐나다에 35%의 세율이 적용된 이유에 대해 캐나다의 보복 조치를 언급하며 “트럼프 대통령은 캐나다와의 무역 조건을 개선하려 노력 중이며 합의에 이를 방법이 있다면 우리는 그것을 찾을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다만 “방법이 없다면 관세를 부과할 것”이라고 압박했습니다.
캐나다 측 무역 협상 대표인 도미닉 르블랑 장관은 “우리는 관세 중 일부를 낮추고 투자에 더 큰 확실성을 제공할 수 있는 선택지가 있다고 생각한다”며 “마크 카니 캐나다 총리와 트럼프 대통령이 무역 협상을 위해 며칠 이내에 대화할 것”이라고 했습니다.
상호관세율이 종전 31%에서 39%로 오른 스위스도 발등에 불이 떨어졌습니다.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기 파르믈랭 경제장관은 RTS방송과의 인터뷰에서 4일 연방 내각 특별회의를 열고 기존 협상안을 수정할 것임을 시사했습니다.
트럼프, BLS 국장 경질에 논란 일파만파 확산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지난 두 달간 고용 통계 수치를 대폭 하향 수정한 에리카 매컨타퍼 노동부 고용통계국(BLS) 국장을 해고한 것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의 인사 조치가 관세정책의 부정적 영향이 드러난 통계에 대한 공개적인 불만이라는 점에서 자칫 ‘통계의 정치화’가 벌어질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옵니다.
재닛 옐런 전 재무장관은 이번 사태를 두고 “바나나공화국(부패한 비민주국가)에서나 볼 수 있는 일”이라고 비판했습니다. 래리 서머스 전 재무장관도 “국장이 숫자를 조작할 수 있는 길은 없다”며 “(트럼프의) 주장은 민주주의가 권위주의에 굴복하는 것과 같다”고 꼬집었습니다. 트럼프 1기 당시 노동통계국장을 지낸 윌리엄 비치는 이번 조치에 대해 “해당 부서에 대한 신뢰성을 저해하고 미래의 보고서에 관한 의문을 제기할 것”이라고 지적했습니다.
끝 보이는 '선주문 효과'…아시아, 대미수출 급감 우려
아시아 주요국들의 대(對)미국 수출이 올 하반기부터 급속히 줄어들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옵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가 4월 상호관세 부과 방침을 확정하면서 아시아의 수출을 주도했던 상반기 ‘선주문’ 효과가 더 이상 작동하지 않을 것이라는 진단입니다.
샌프란시스코 물류업체 그레이트월드로지스틱스의 지미 팅 회장은 “주요 수입업체들이 관세 부과 전에 재고를 확보하려 했지만 최근 들어 분위기가 달라지고 있다”며 “5~6월에는 배송 대기 물량이 많았지만 최근에는 대부분 해소된 상태”라고 전했습니다.
노무라증권은 올해 하반기 아시아의 수출이 두 자릿수의 하락세를 나타낼 것이라는 분석을 내놓았습니다. 수요 둔화와 관세 인상 영향이 복합적으로 작용할 것이라는 판단입니다.
컨퍼런스에서 올림픽까지…中, 이달 베이징서 '로봇굴기' 과시한다
로봇 상용화에 앞장서고 있는 중국이 이달 휴머노이드 로봇 올림픽 등 로봇 관련 행사를 잇따라 열며 전 세계에 ‘로봇 굴기’를 과시합니다.
중국 관영 영자지 글로벌타임스에 따르면 2일 세계 최초의 로봇 소비자 테마 축제인 ‘E 타운 로봇 소비자 축제’가 베이징 경제기술개발구(BDA) 내 로봇 월드에서 개막했습니다. 행사는 17일까지 진행됩니다. 이달 8일부터 12일까지는 세계로봇콘퍼런스(WRC)가 열리고 14~17일에는 세계 최초로 ‘휴머노이드 로봇 올림픽’이 개최됩니다. BDA는 축제 기간 소비 바우처를 발행해 개인 소비자에게 로봇 제품 구매 시 최대 1500위안(약 29만 원), 기업 구매자에게는 최대 25만 위안(약 4820만 원)의 보조금을 제공할 예정입니다.
중동서 존재감 키우는 中석유기업…이라크서 美와 에너지 경쟁 벌이나
서방 기업들이 철수한 틈을 타 중국 석유 기업들이 이라크 석유 시장에서 빠르게 입지를 넓히고 있습니다. 미국도 이라크 석유 시장 복귀 의지를 밝히면서 이라크가 미국 등 서방과 중국 간 에너지 경쟁의 새로운 격전지로 부상할 가능성이 커지고 있습니다.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지오제이드·유나이티드에너지그룹·중만석유천연가스 등 중국의 중견·민영 석유 기업들이 지난해 이라크 탐사 라이선스의 절반을 확보하는 등 시장점유율을 빠르게 늘리고 있습니다. 2030년 하루 생산량을 현재의 두 배인 50만 배럴로 확대하는 것을 목표로 설비와 인력도 대거 확충하고 있습니다. 중국 메이저인 중국석유천연가스집단유한공사(CNPC)가 이라크 생산량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는 가운데 중견·민영기업들까지 진출하면서 중국의 입지가 강화하고 있다는 진단이 나옵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