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 건축의 맥을 잇고자 힘써온 장인 목수들이 국가무형유산 보유자가 된다.
국가유산청은 국가무형유산 ‘대목장(大木匠)’ 보유자로 김영성·이광복·조재량 씨를 각각 인정 예고했다고 1일 밝혔다. 이들이 정식 인정될 경우 2000년 최기영 보유자 이후 25년 만에 대목장 분야에서 보유자가 새로 나오게 된다.
대목장은 나무를 마름질하고 다듬을 뿐 아니라 건축 공사 설계·감리 등을 모두 아우르는 목수를 뜻한다. 건물을 짓는 전 과정을 책임지는 장인이다. 가구와 창호 등을 만드는 소목장과 구분되며 도편수(都片手)로도 불렸다. 도편수는 집을 지을 때 책임을 지고 일을 지휘하는 우두머리 목수를 의미한다.
김영성 씨는 1977년 고(故) 고택영(1918~2004) 보유자에게 기술을 배우기 시작해 반세기 가까이 한길을 걸었다. 1997년 이수자가 됐으며 2000년에는 전승교육사, 2021년에는 전남도 무형유산 보유자로 인정받았고 전통 도구·기법을 보전하는 일에 앞장섰다.
이광복 씨는 고 조희환(1944~2002), 신영훈(1936~2020) 씨로부터 대목장 기술을 배운 뒤 20년 이상 도편수로 활동했다. 그는 특히 전통 사찰을 보수·수리하거나 새로 지을 때 큰 역할을 했다. 조재량 씨는 1996년 신응수 전 대목장 보유자의 가르침을 받아 기술을 익혔고 2006년 이수자가 돼 도편수로서 다양한 국가유산을 복원·보수해왔다. 조재량 씨는 조선 후기 여러 궁궐 공사에 참여했던 도편수 최원식부터 조원재, 이광규, 신응수 등으로 내려오는 궁궐 건축의 기문(技門) 계보를 잇는다고 국가유산청은 전했다. 국가유산청 관계자는 “대목장 보유자 3명을 새롭게 인정 예고함에 따라 향후 전승 현장에도 활력을 불어넣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국가유산청은 또 악기장 전승교육사인 김영렬 씨를 명예보유자로 인정 예고했다. 악기장은 전통음악에 쓰이는 악기를 만드는 기능 또는 그러한 기능을 가진 사람을 일컫는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