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에너지공과대학교(켄텍) 항지현 교수 연구팀이 액화수소의 극저온 특성을 활용해 압축기 없이도 고효율 에너지 저장이 가능한 혁신 기술을 개발해 관심을 모으고 있다. 이 시스템은 기존 LNG 냉열을 활용한 에너지 생산·저장 시스템보다 효율성과 경제성이 월등히 뛰어난 것으로 평가되며 전남의 미래먹거리 신재생에너지 사업에도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켄텍은 황지현 교수 연구팀이 △LH2 냉열 시스템 △질소 냉매 시스템 △액화공기 에너지 저장 시스템 △전력생산을 연계한 신개념 통합 에너지 저장 시스템을 개발했다고 23일 밝혔다.
연구팀이 개발한 신개념 통합 에너지 저장 시스템은 기존의 LNG 냉열 개념처럼 전기에너지가 많이 사용되는 On-peak 기간과 상대적으로 에너지 사용이 적은 Off-peak 기간으로 나눠서 설계됐다.
차별점은 On-peak 기간에는 LNG 냉열보다 훨씬 온도가 낮은 LH2 냉열을 활용한다는 것이다. 이를 통해 하루 8시간에서 12시간까지 전기 생산이 가능하게 최적 시스템을 구현했다.
활용된 LH2는 모두 기화돼 소비처에 공급된다. 이는 향후 전세계적으로 구축될 액화수소 인수기지에 적용돼 추가 에너지를 효율적으로 저장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연구팀이 개발한 가장 획기적인 부분은 Off-peak 기간의 최적 에너지 저장 시스템 개념이다. 기존 LNG 냉열 대신 LH2 냉열을 사용해 공기를 액화하는 방식으로, 기존에 필수적으로 사용되던 공기 압축기가 불필요하게 된다. 에너지 효율이 극대화되며 경제성 부분도 크게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질소 냉매 시스템 개념을 공기 액화 시스템에 접목해 효율을 추가적으로 극대화하며 압축기가 전혀 필요 없는 신개념 액화공기 에너지 저장 시스템을 개발했다.
황지현 교수는 ““전남 신안 해상풍력 단지 개발을 위한 그린 수소 에너지 섬 사업이 전세계적으로 많은 관심을 받고 있지만, 재생에너지의 간헐성 문제가 선결과제”라며 “배터리 등 여러 기술들이 대안으로 평가받고 있지만 대용량 고효율 ESS 기술에 대한 명확한 대안이 부족한 상황에서, 이번 연구에서 개발된 LH2 냉열 활용 신개념 에너지 저장 시스템이 강력한 대안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 시스템은 공기 압축기가 불필요해 유지 보수 문제를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며, 상용화를 통해 그린 수소 에너지섬에 적용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