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은경 보건복지부 장관 후보자가 코로나19 창궐 시기에 관련 주식을 매매해 이득을 봤다는 의혹에 대해 “주가 변동으로 시세차익을 크게 봤다는 건 명백히 사실이 아니다”라고 반박했다. 다만 이득을 보지 않았지만 일부 관련 주식을 보유했다는 점에 대해서는 “이해충돌의 문제가 없었는지 살펴보지 못해 송구하다”고 말했다.
정 후보자는 18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에서 열린 인사청문회에서 서명옥 국민의힘 의원의 의혹 제기에 대해 조목조목 반박했다. 서 의원은 정 후보자가 가족 명의 등으로 손 소독제 관련 기업인 창해에탄올 주식을 비롯해 씨젠(코로나 진단키트), 에프티이엔이(라임·마스크), 기타 의료기기 관련주 등 주식을 사들였고, 이를 처분해 상당한 이익을 봤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에 대해 정 후보자는 “에프티이엔이 주식은 2018년에 매도했기 때문에 (이후 창궐한) 코로나19와 상관이 없다”며 “(의혹을 제기한) 의료기기 관련 주식은 보유하고 있는 게 없다. 추정하기로는 동일한 회사 이름을 착각했을 거라고 판단한다”고 해명했다. 이어 “의료기관 주식이나 씨젠도 보유한 적이 없다”고 했다.
현재도 보유 중인 창해에탄올 주식에 대해서는 “2016년부터 주정(酒精) 회사로 알고 보유했던 것”이라며 “장기적으로 보유하고 있어서 현재까지 한 주도 팔지 않고 있다. 주가 변동에 따른 시세차익을 크게 봤다는 건 명백히 사실이 아니다”라고 했다. 그러면서 “2020년 코로나가 유행할 때 주정회사였던 회사가 손 세정제로 사업 목적을 확장했다는 걸 그 당시에는 알지 못했다”며 “알았다면 그에 해당하는 조치를 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다만 정 후보자는 “좀 더 세밀하게 이런 이해충돌의 문제가 없었는지 살펴보지 못한 건 송구하다”며 “이해관계 관리를 충실히 하겠다”고 전했다.
주식 매매 관련 자료 제출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았다는 야당 의원들의 지적에 대해서도 “2016년 이후 자료를 제출드렸고 배당 내역도 포함했다”며 “다만 증권거래를 하는 계좌가 더 있냐고 하는데 (제출한) 키움증권 외에는 없다고 알고 있다. (자신이 모르는 계좌가 있는지) 배우자에게 확인 중이고 확인하는대로 제출하겠다”고 답했다.
실제 농사를 짓지 않으면서 농지를 보유해 농지법을 위반했다는 의혹에 대해서도 “최선을 다해서 (농사) 지었다”고 적극 해명했다. 정 후보자는 “남편이 1980년대부터 해당 지역에서 공중보건의를 하면서 알게 된 지인과 30년 간 농사를 지었다”며 “농사는 부족함이 있다고 보실 수 있지만 가족들이 최선을 다해서 지었다”고 말했다.
정 후보자가 아닌 지인 A씨가 사실상 농사를 전담했다는 언론 보도와 관련해서는 “상황에 따라 많이 가기도 하고 적게 가기도 했지만 최대한 농사를 같이 지었고, 친환경 농사나 영농하는 걸 지향했다”며 “A씨는 저희 가족과 거의 30년 간 가족처럼 살아서 중요한 작업은 같이 했다”고 했다. 그는 “강원도는 보통 4~10월에 농사를 짓는데 논농사와 밭농사, 최근엔 나무 묘목 농사를 지었다”고 구체적인 농사 경험을 강조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