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비상계엄에 따른 내란·외환 사건을 수사하고 있는 조은석 특별검사팀이 “현재까지 소환조사 요청에 불응한 전 국무위원은 없다”며 “앞으로는 필요에 따라 비공개 소환 조사도 할 것”이라고 밝혔다.
박지영 특검보는 3일 오후 정기 브리핑에서 “지금 단계에선 (소환 불응한 국무위원은) 없는 것 같다”며 이 같이 밝혔다. 특검은 이날 오전 김주현 전 민정수석과 김성훈 전 대통령경호처 차장을 불러 조사하고 있다.
한편 현재까지 특검의 사실상 공개 소환 조사 방식에 대해서 재고할 것을 시사했다. 전날 한덕수 전 국무총리가 특검 사무실로 출석하는 과정에서 일부 소동을 의식한 것으로 보인다. 박 특검보는 “어제 국무위원들이 출입하는 과정에서 안 좋은 모습이 연출됐다”며 향후 다른 피의자·참고인 조사에서는 비공개 소환도 한다고 했다.
이어 박 특검보는 내란특검 조직에 대해서 “속칭 매트릭스 조직 형태로 운영되고 있다”며 “수사대상자나 사건 범위 중심으로 인력을 유연하게 배치해 활동하고 있다”고 했다.
이날 김 전 수석을 소환한 데 이어 김성훈 전 대통령경호처 차장도 불러 조사하고 있다. 전날에는 한 전 총리와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유상임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 김정환 전 대통령실 수행실장을 불러 비상계엄 선포 전후 사정을 캐물었다. 특검팀은 윤석열 정부 국무위원을 모두 불러 조사한다는 방침이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