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든 전 미국 대통령(82)이 임기를 마친 지 불과 4개월 만에 심각한 건강 위기를 맞았다. 18일(현지시간) 뉴욕타임스와 월스트리트저널 등 주요 미국 언론은 바이든 전 대통령이 악성도가 높은 '공격적 형태'의 전립선암 진단을 받았으며, 암세포가 이미 뼈까지 전이된 상태라고 보도했다.
바이든 측 대변인은 성명을 통해 "지난주 배뇨 증상 악화로 검진을 받은 결과 전립선에서 새로운 결절이 발견됐다"며 "지난 16일 글리슨 점수 9점(등급 그룹 5)의 전립선암으로 진단받았고, 암세포가 뼈로 전이된 상태"라고 밝혔다. 글리슨 점수는 전립선암의 악성도를 평가하는 지표로, 26점은 예후가 양호한 저위험군인 반면, 바이든 전 대통령이 받은 9점은 710점 사이의 고위험군에 해당한다.
다만 바이든 측은 "해당 암이 호르몬에 민감한 것으로 보여 효과적인 관리가 가능하다"며 "대통령과 가족들이 주치의와 함께 치료 방안을 검토 중"이라고 덧붙였다.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CDC)에 따르면 전립선암은 미국 남성 100명 중 13명이 일생 중 진단받을 정도로 발병률이 높은 암이다.
바이든 전 대통령은 지난 1월 역대 미국 대통령 중 최고령인 82세로 대통령직에서 물러났다. 재임 기간 내내 건강 상태와 인지 능력에 대한 의구심이 제기됐으며, 지난해 6월 대선 토론 이후 논란이 확대되면서 결국 민주당 대선 후보직을 카멀라 해리스 당시 부통령에게 양보하고 재선 도전을 포기했다.
특히 CNN 앵커 제이크 태퍼와 악시오스 기자 알렉스 톰슨이 곧 출간할 저서 '오리지널 신'에서는 바이든 전 대통령이 작년 6월 중순 후원금 모금 행사에서 15년간 알고 지낸 배우 조지 클루니를 알아보지 못했다는 충격적인 의혹을 제기했다. 이들은 바이든의 측근들이 상당 기간 그의 인지력 문제를 은폐해왔다고 주장했다.
한편 트럼프 대통령은 자신의 소셜미디어인 트루스소셜에 "멜라니아와 나는 조 바이든의 의료 진단 소식을 듣고 슬퍼하고 있다"며 "질과 가족에게 따뜻한 안부를 전하며, 조가 빨리 성공적으로 회복하기를 기원한다"고 밝혔다. 대선 기간 "졸린 조"라는 별명으로 바이든을 자주 조롱했던 트럼프는 이날만큼은 절제된 메시지를 전했다.
카멀라 해리스 전 부통령도 엑스에 바이든과 함께 찍은 사진을 공유하며 "더그와 나는 바이든 대통령의 전립선암 진단 소식에 매우 슬프다"며 "조는 투사이며, 그가 항상 보여준 힘과 회복력, 낙관주의로 이 도전을 마주할 것"이라고 위로의 메시지를 전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