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의힘 지도부가 윤석열 전 대통령과 ‘절연’을 선언했지만 정작 윤 전 대통령은 ‘묵묵부답’으로 일관하는 가운데 당내 갈등이 이어지고 있다.
김용태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은 16일 라디오 인터뷰에서 “이번 주말까지는 윤 전 대통령 탈당 문제를 매듭지어야 한다”며 “탄핵의 강을 넘기 위한 대통령 (탈당) 문제는 이미 답이 나와 있다”고 밝혔다. 대선 후보 간 1차 TV 토론이 진행되는 18일을 데드라인으로 지정하고 윤 전 대통령 탈당 압박에 나선 것이다. 김 위원장은 전날 취임 일성으로 윤 전 대통령의 자진 탈당을 권고했지만 윤 전 대통령은 아직 명확한 입장을 밝히지 않고 있다.
당내에서는 윤 전 대통령 탈당 문제에 대한 입장 차가 여전하다. 친윤석열(친윤)계 윤상현 의원은 이날 페이스북에 “윤 전 대통령은 본인의 거취 문제에 대해 시기와 방법을 따져 당과 긴밀히 협의하겠다는 입장”이라며 “대통령 거취 문제에 대한 공개적인 논쟁을 멈춰달라”고 말했다. 김 위원장의 탈당 권고와 달리 윤 전 대통령 거취는 스스로 결단해야 한다는 주장이다. 김문수 대선 후보 역시 대통령 거취는 본인의 판단을 존중해야 한다며 미온적인 태도를 보이고 있다.
국민의힘은 당 경선에 참여했던 예비 후보들의 선거대책위원회 합류에도 난항을 겪고 있다. 김 후보는 경선 패배 이후 탈당하고 하와이에 체류 중인 홍준표 전 대구시장의 선대위 합류 설득을 위해 홍 후보 캠프 비서실장을 맡았던 김대식 의원을 하와이로 보내려 했지만 홍 전 시장은 “(하와이에) 오지 말라고 했다”며 선대위 합류 거부 의사를 전했다. 그러면서 “(국민의힘은) 자신들이 ‘국민의 짐’이 된 줄도 모르고 있다”며 “이번 대선이 끝나면 한국의 정통 보수주의는 기존 판을 갈아엎고 새 판을 짜야 할 것”이라고 직격했다. 한동훈 전 국민의힘 대표 역시 △계엄·탄핵 반대 입장 선회 △윤 전 대통령 부부와 절연 △극우 세력과 선 긋기에 대한 김 후보의 결단을 요구하며 선대위에 참여하지 않고 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