각종 건설지표를 비교한 결과 현재 건설경기 침체가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때보다 구조적으로 더 심각하다는 분석이 나왔다.
한국건설산업연구원은 15일 '2008년 금융위기와 비교한 최근 건설경기 진단과 대응 방안' 보고서에서 이같이 진단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건설경기 선행지표인 건설수주(경상)는 2023년 전년 대비 16.6% 감소해 금융위기 당시인 2008년(-6.1%)보다 심각했다. 건축 착공면적 역시 2008년에는 전년 대비 22.2% 감소했으나 2023년에는 31.7% 줄었다.
건설경기 동행지표인 건설기성(경상)은 2007년 6.6%, 2008년 4.9%, 2009년 3.2%를 기록했으나 최근 들어서는 2022년 12.4%, 2023년 10.7% 증가하다가 2024년(-3.2%) 하락 전환했다.
건설투자도 2022년과 2024년 각각 전년 대비 3.5%와 3.0% 감소해 2008년 감소폭인 2.7%를 웃돌았다. 주택 수요 부진 지표인 연도별 미분양(12월 말 기준) 증가율은 2008년 47.5%, 2022년 284.6%로 크게 높아졌다.
건산연은 유동성 공급과 공공 발주의 정상화를 포함한 신속한 단기 부양책과 함께 주택공급 확대, 지역 맞춤형 대응, 민간 투자 활성화 등 실질적이고 구조적인 정책이 병행돼야 한다고 제언했다. 이지혜 건산연 연구위원은 “2008년 금융위기 이후에도 건설산업은 공공과 민간의 투자가 맞물리며 회복의 전환점을 마련했지만 현재는 금리·물가·재정 등 정책 수단이 제한돼 있어 단기적 대응만으로는 회복이 어려운 상황”이라고 지적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