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인과 중국인이 일본의 식당들에 공개적으로 '출입 거부'를 당하는 일이 꾸준히 발생하면서 논란이 되고 있다.
일본정부관광국(JNTO)에 따르면, 올해 1~3월 일본을 방문한 외국인 관광객은 1053만7300명으로 1분기 기준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최단 시간 1000만 명 돌파다. 한국인이 250만6100명으로 가장 많았고, 뒤를 중국(236만 명)이 이었다. 한국인 숫자는 1월 춘제 연휴 등의 영향으로 중국인 방문객에 밀렸지만 2월부터 일본 방문객 1위를 지키고 있다.
13일(현지시간)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는 일본 오사카의 한 레스토랑이 '무례하다'는 이유로 출입구에 중국인의 출입을 금지한다는 공지문을 게재했다고 보도했다.
하야신이라는 레스토랑은 지난 10일 사회관계망서비스(SNS) 계정에 중국인 손님을 거부한다는 내용의 쪽지를 출입문에 붙인 사진을 올렸다. 중국어로 쓰인 해당 쪽지에는 '많은 중국인이 무례하기 때문에 중국인 손님은 받지 않는다'고 적혀 있다.
SCMP는 최근 일본의 식당들이 중국인 고객을 거부하는 일이 잇따라 발생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실제로 2023년에는 한 중국 인플루언서가 도쿄의 식당을 찾았다가 중국어와 한국어로 쓰인 출입 금지 공지문 사진을 SNS에 올려 논란이 불거졌다. 해당 메모에는 일본어로 "중국 바이러스를 예방하기 위해 고안된 것"이라고 적혀 있었다. 인플루언서는 직원에게 이유를 묻기 위해 식당 안으로 들어갔지만, 대답을 듣지 못한 채 쫓겨났다.
매체는 일본의 식당들이 중국인뿐만 아니라 한국인도 쫓아내거나 출입금지시키고 있다고 짚었다. 그러면서 지난해 7월 도쿄에서 한국인과 중국인을 거절한 소식을 함께 전했다. 당시 신주쿠 오쿠보에 있는 한 이탈리안 식당은 출입문 창문에 하얀색 마카로 "다양성과 관용의 시대지만 싫은 생각을 하면서 일할 생각은 없다. 그렇기 때문에 한국인, 중국인은 거절한다"고 적었다.
SCMP는 "일본 식당들이 이 같은 행동에 나선 데는 일부 민족주의 영향을 받는 사람들을 통해 이익을 얻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그러면서 이들 식당의 행동이 '위법'이라는 사실을 알렸다. 일본 헌법에 따르면 언어적 이유로 레스토랑에서는 일본어를 구사하는 고객만 받는 것은 합법이지만 고객의 인종이나 국적을 근거로 차별하는 것은 일본 헌법에 어긋난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