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7일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로 확정된 이재명 예비후보가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 국무총리의 대선 출마 선언이 임박했다는 관측에 대해 “끊임없는 내란 세력 귀환을 노리는 게 아닌가 생각한다”고 비판했다.
이 후보는 이날 일산 킨텍스에서 열린 최종 후보 경선 종료 직후 기자들과 만나 “여전히 내란의 주요 종사자들, 부화뇌동자들이 중요한 직책을 가지고 남아있는 것 같다”며 이같이 강조했다.
‘한 대행의 출마가 내란·퇴행의 시도라고 보느냐’는 질문에 이 후보는 “심판하고 계신 분이 끊임없이 선수로 뛰기 위해서 기회를 노리는 것 아닌가, 그런 (의문을) 국민이 가지고 있는 거 같다. 그런 의문이 확실히 아니라고 생각되지 않는다”고 답했다.
그러면서 한 권한대행이 마은혁 헌법재판관을 임명하지 않았던 점과 관련해 “명확한 헌법상의 의무를 이행하지 않거나 헌재가 명한 판결까지 완전히 무시하는 것은 헌법 파괴 행위고, 그 자체가 사실상 내란 행위”라고 지적했다.
아직 진행 중인 국민의힘 경선을 두고는 “바깥사람과 뭘 해야 한다는 소문이 있던데, 잘되기를 바란다”며 한덕수 출마론을 에둘러 비판했다.
김재연 진보당 대선 후보와 연대 가능성에 대해선 “진보당이든 보수당이든 관계없이 이 내란을 극복하고 헌정 질서를 회복하는 데 함께하는 분들은 최대한 합쳐야 한다고 생각한다”며 “그게 연대든, 연합이든, 동조든, 협조든 뭐든지 함께해야 한다”고 답했다.
다만 답변 과정에서 “진보당 후보도 없는데 무슨 단일화냐”고 말했다가 “진보당이 후보가 있는 줄 몰랐다. 죄송하다”며 사과했다.
‘내란 관련자들에 대한 엄단이 윤석열 정부 때의 정치보복이나 문재인 정부 때의 적폐 청산과 어떻게 다른가’라는 질문에 이 후보는 “국민들이 판단할 것”이라며 “명백한 중범죄자를 봐주는 게 정치적으로 바람직한지는 국민의 판단에 따를 일이 아닌가”라고 답했다. 이어 “정치보복의 개념은 윤석열 전 대통령이 명확하게 잘 지적해 준 적이 있으니 참고하기를 바란다”고 부연했다.
선대위 구성에 대해서는 “가급적이면 넓게, 많은 사람이 함께하고, 우리 국민께서 앞으로는 분열이나 대결보다는 힘 모아 통합의 길로 가지 않을까, 기대를 가질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며 “최대한 넓게, 친소관계 구분 없이 실력 중심으로 사람을 쓰겠다”고 전했다.
예산편성권과 경제정책 수립 권한을 갖는 기획재정부에 대해선 “경제 기획이나 이런 것들을 하면서 또 한편으로는 재정까지 틀어쥐어서 정부 부처의 왕 노릇을 하고 있다는 지적이 상당히 있다”고 말했다. 또 “문제점들은 저도 일부 공감하는 바 있다”며 “세부적인 안은 나중에 내겠지만, 중요한 건 지나치게 권한이 집중돼서 남용의 소지가 있다는 생각이 들긴 한다”고 덧붙였다. 이 후보는 지난 20대 대선에서는 기재부의 예산 기능 분리를 주장했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