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준표 전 대구시장이 14일 제7공화국 개헌의 적임자를 자처하며 네 번째 대선 출사표를 던졌다. 제6공화국의 경제민주화가 한계에 봉착했다고 지적한 홍 시장은 “민관이 함께 목표를 세우고 협력하는 ‘민관 경제 부흥 5개년 계획’을 추진하겠다”며 네거티브 규제 전환과 노동시장 유연화, 국가부채 관리 등의 비전을 제시했다.
홍 전 시장은 이날 서울 여의도 대하빌딩 선거 캠프에서 대선 출정식을 열고 “제7공화국 개헌을 추진하고 선진대국의 기틀을 다지는 대통령이 되겠다”며 대선 승리 직후 대통령 직속 개헌추진단을 구성하겠다고 밝혔다.
개헌으로 국회 상·하원의 양원제를 도입하는 한편 선거구제 개편으로 중선거구제를 적용해 특정 정당의 지역 독식을 없애겠다는 설명이다.
홍 전 시장은 특히 “제6공화국의 경제원칙은 현행 헌법의 예외 규정인 경제민주화에 주목한 분배 중심과 정부 개입과 규제의 시기였다”며 “이러한 방식으로는 선진국 문턱까지 올 수는 있었지만 더 이상 선진국으로 진입하기는 어렵다”고 진단했다. 그러면서 이른바 제7공화국의 경제원칙은 자유와 창의가 중심이 된 △성장과 분배의 조화 △민간 중심 △정부 개입 최소화 △규제 혁파 등이 될 것이라고 소개했다.
홍 전 시장은 대한민국 미래 100년을 설계하는 미래전략원을 만들어 민관이 함께 목표를 세우고 협력하는 ‘민관 경제 부흥 5개년 계획’을 추진하겠다고 예고했다. 구체적으로는 네거티브 규제 전환을 비롯해 한국판 두바이 특구, 신산업 게이트 프리(Gate Free)를 추진하는 동시에 AI·양자·초전도체·반도체·첨단 바이오 등 초격차 기술 개발과 상용화에 최소 50조 원 이상을 투입하겠다는 것이다.
홍 전 시장은 또 “노동의 유연화를 이뤄야 한다. 해고가 자유로워야 고용이 늘어난다”며 “국가 신인도 제고와 미래세대 부담 경감을 위해 국가부채를 적극 관리하겠다”고 했다.
17·19·20 대선에 이어 이번이 네 번째 출마인 홍 전 시장은 “명운을 건 대회전에는 가장 준비되고 경험이 많은 든든한 장수가 나가야 된다”며 검증된 후보론을 강조했다.
홍 전 시장은 출정식 후 기자들과 만나 한덕수 대망론에 대해 “그런 경거망동, 본분에 어긋나는 행동을 하실 분 아니다. 당내 철부지처럼 설치는 일부 사람이 문제”라고 일축했다.
한편 나경원 국민의힘 의원은 “이번 조기 대선을 가져온 여러 원인을 생각하다 보면 한동훈 후보만큼은 반드시 이겨야겠다는 생각을 했다”고 하자, 한동훈 전 국민의힘 대표는 “기득권 연명말고 국민 승리하자. 통진당(통합진보당) 닮지는 말아야 한다”며 즉각 반박하는 등 주자 간 공방도 격화하는 모습이다. 윤상현 국민의힘 의원은 이날 국민의힘 대선 경선에 참여하지 않기로 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