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3 조기 대선 출마를 공식 선언한 김경수 전 경남도지사가 14일 경남 김해 봉하마을을 찾아 고(故) 노무현 전 대통령 묘역을 참배한다.
김 전 지사는 노 전 대통령 사망 때까지 곁을 지킨 이 중 한 명으로 ‘노무현의 마지막 비서관’으로도 불린다. 전날(13일) 대선 출마 기자회견 장소도 노무현 참여정부의 지방분권 정신을 계승한다는 의미에서 세종시를 택했다.
김 전 지사는 이날 오전에는 서울 동작구 국립서울현충원을 찾아 현충탑을 분향하고 고(故) 김대중 전 대통령 내외 묘역을 찾아 참배할 예정이다.
이후 서울 영등포에 마련된 경선 캠프에서 대통령 집무실 관련 입장을 발표할 방침이다. 김 전 지사는 출마 기자회견에서 “내란의 상징인 용산을 더 이상 대통령실로 사용할 수 없다”며 “행정수도는 세종으로 완전히 이전하고, 대통령실을 세종시로 옮기겠다”고 밝힌 바 있다.
아울러 “국가 운영의 기본틀을 바꿔야 한다. 대한민국의 성장축을 다양화해야 한다”면서 “수도권 일극이 아니라 전국을 5대 권역으로 나눠 다섯 개의 성장축을 만들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5대 메가시티 자치정부에 연간 30조 원 이상의 자율예산을 지원하겠다”며 “사회 경제 시스템은 각각의 초광역 발전계획을 갖고 완전히 새롭게 전환할 것”이라고 부연했다.
이번 대선의 의미를 ‘내란 완전 종식’으로 설정한 뒤 “빛의 연대로 ‘나와 우리의 나라’를 만들겠다”며 “입법·행정·국정 경험을 모두 갖고 있는 유일한 후보에게 기회를 달라”고 지지를 호소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