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8일(현지 시간) 석탄 산업 활성화 방안을 담은 행정명령에 서명했다. 인공지능(AI)과 가상자산 수요 급증에 발맞춰 늘어나고 있는 전력수요에 대응하기 위해서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워싱턴DC 백악관에서 이 같은 내용의 행정명령 4개에 잇따라 서명했다. 구체적으로 △모든 연방정부 부처와 기관에 석탄 산업에 대한 차별 중단 △신규 석탄 프로젝트에 대한 허가 및 자금 지원 확대 △전임 조 바이든 행정부 시절 규제에 따른 석탄화력발전소 폐쇄 중단 △석탄발전을 통한 전력망 안정 등이 담겼다. 이와 함께 민주당이 장악한 일부 주(州)를 상대로 석탄 채굴 및 발전을 차별하는 정책을 조사할 것을 법무부에 지시하는 내용도 포함됐다. 특히 트럼프 대통령은 석탄 채굴 활성화를 위해 한국전쟁 당시인 1950년 도입한 전시 권한인 국방물자생산법(DPA)을 활용하겠다고 했다. 이의 일환으로 트럼프 대통령은 미 에너지부에 석탄이 국가 차원에서 생산을 지원해야 하는 ‘중요 광물’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검토하도록 지시했다.
이번 조치는 AI 데이터센터와 전기차·가상자산 등 전력수요가 급증하는 추세에 발맞춰 석탄의 생산을 늘리기 위한 것으로 풀이된다. 셰일가스 생산 증가와 태양광·풍력 등 재생에너지발전 확대에 따른 영향으로 미국 내 석탄발전 비중은 2000년 50%에서 지난해 20% 미만으로 감소했다. 전국 석탄발전소 가동률도 40%로 낮은 편이다.
이번 조치에는 석탄 업계를 지원해 광부 등의 일자리를 늘리겠다는 목적도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우리는 버려진 (석탄) 산업을 되살리고 광부들을 다시 일터로 되돌릴 것”이라고 말했다. 미국 전국의 광부 수는 2015년 7만 명에서 현재 4만 명으로 크게 줄었다. 환경 단체들은 기후변화로 인한 경제적 피해가 매년 심각해지는 상황에서 석탄 산업을 확대하겠다는 트럼프 정부의 결정이 구시대적인 발상이라며 비판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