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철수 국민의힘 의원이 대선 출정식에서 “국민의 생활에 편리함을 주고 권익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이 포함돼야 한다"며 개헌 방향성을 제시했다.
안 의원은 8일 서울 종로구 광화문광장 이순신 장군 동상 앞에서 21대 대선 출정식을 가지고 “AI는 물론 IT 기술 등이 반영된 국민 기본권을 높일 수 있는 개헌이 필요하다”며 이같이 밝혔다.
안 의원은 “87년 헌법이 만들어질 당시 우리 재정이 부족했지만 지금은 국민 복지에 대한 의무사항을 강화해야 한다”며 “헌법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국민의 기본권인데 지난 38년 동안 개정이 안됐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국민통합 대개헌을 추진하겠다”며 “대통령 권한과 국회 특권을 축소하고, 대통령 4년 중임제와 중대선거구제를 추진하겠다”고 선언했다.
또 “지방자치제로만 머물고 있는 상황에서 지방 정부라는 용어를 도입해야 한다”며 “중앙정부가 독점한 법률과 재정의 권한을 일부 넘겨 함께 잘 살 수 있는 국토 균혀 발전을 이룰 수 있는 나라를 만들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안 의원은 이날 출정식에서 정치권의 갈등 상황에 대한 더불어민주당과 이재명 대표의 책임도 언급했다. 그는 “국민은 이재명 민주당에 정권이 넘어갈까 두려워하고 있다”며 “안철수만큼 민주당의 약점과 강점을 모두 잘 알고 있는 사람은 없다”고 자신감을 내비쳤다. 그러면서 “이재명을 넘어 승리할 수 있는 유일한 후보인 안철수를 선택해 달라”고 호소했다.
출마 선언과 함께 큰 틀의 대선 공약도 내놨다. 그는 “대한민국을 3대 AI 강국으로 만들지 못하면 미래도 없다"며 “AI 산업에 정부와 기업이 협력해 수백 조 원의 투자를 단행하겠다”고 말했다.
아울러 “연금은 모수개혁에 이은 구조개혁을 추진하겠다”고 덧붙였다. 이외에도 외교·안보, 현실성 있는 의료개혁 등 첨예한 의견 대립이 있는 정치 현안에 대한 로드맵도 제시했다.
발 빠르게 대선 가도에 올라탄 안 의원이지만 줄곧 지지부진한 지지율을 극복하는 것은 시급한 과제다. 이와 관련해 그는 여론조사 결과를 언급하며 “중도층의 2030 세대를 조사했을 때 지지율이 제일 높은 두 사람이 김문수 장관과 나다"며 “데이터를 보고 드리는 말씀이고 경쟁력을 가지고 있다고 본다"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