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계 미국인인 앤디 킴(사진) 연방 상원의원이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폭탄’과 관련해 골머리를 앓는 각국 정부에 “관세가 미국 제조업과 공급망에 어떤 타격을 입힐지를 분명히 전달하라”고 조언했다.
킴 의원은 16일(현지시간) 독일 뮌헨안보회의에서 열린 ‘무역 전쟁과 평화 : 무역보호주의의 부상과 경제협력’ 세션에서 이 같이 밝혔다. 그는 “미국 공화당 지지자들의 73%는 국제교역으로 인해 손해를 본다고 생각하고, 트럼프 지지율은 최고 수준”이라면서 “그러나 미국인 66%는 트럼프가 인플레이션, 소비자 물가 문제에 제대로 대응하고 있느냐는 질문에 ‘그렇지 않다’고 응답한다”고 설명했다. 또 “관세 정책이 (미국의)물가를 올릴 것으로 예상하는지 묻는 질문에는 64%가 ‘그렇다’고 응답했고, 가격이 내릴 것이란 응답은 14%에 불과했다”고 덧붙였다. 정치인 트럼프로서는 인기가 높지만, 트럼프의 정책은 그렇지 않을 가능성을 언급한 것이다.
킴 의원은 이 같은 틈을 파고들어야 한다고 지적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철강·알루미늄 관세에 이어 4월 2일부터는 비관세장벽을 포함한 국가별 상호관세, 자동차·반도체 관세까지 도입하겠다는 계획을 밝힌 바 있다. 킴 의원은 “관세가 여러분들의 국가뿐만 아니라 미국의 제조업과 공급망에 어떤 악영향을 미칠지를 4월 1일까지 분명히 전달하라”고 조언했다. 관세 폭탄이 결과적으로 트럼프의 지지율에도 타격을 줄 수 있다는 점을 내세워 트럼프 행정부와 협상하라는 이야기다.
이날 세션에 킴 의원과 함께 패널로 참석한 멜라니 졸리 캐나다 외무장관도 “캐나다의 미국의 철강 분야 일자리는 통합돼 있는 만큼, 캐나다산 철강에 대한 25% 관세 부과는 미국의 일자리에 영향을 미칠 수밖에 없다”며 비슷한 인식을 공유했다. 그는 “우리가 당장 트럼프의 인식을 바꿀 수는 없으나 관세로 인한 피해는 결국 미국민과 우리 모두에게 돌아간다”며 “우리 모두가 힘을 합쳐야 하는 이유”라고 덧붙였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