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류 인플루엔자(AI) 확산으로 미국 내 계란 가격이 폭등하자 집 뒷마당에서 닭을 직접 키우는 가정이 급증하고 있다.
미국 매체 악시오스는 15일(현지시간) 미국반려동물제품협회(APPA) 자료를 인용해 "뒷뜰에서 닭을 키우는 미국 가구가 1100만 가구에 달한다"고 보도했다. 이는 2018년 580만 가구에서 6년 만에 2배 수준으로 늘어난 수치다. 닭은 미국에서 세 번째로 인기 있는 반려동물로 자리매김했다.
다만 직접 닭을 키우는 것이 비용절감에는 큰 도움이 되지 않을 것이라는 지적이다. 닭 대여 업체 '렌트더치킨'의 젠 톰킨스 공동소유주는 "3년 이하 암탉 2마리로 주당 8~14개의 달걀을 얻을 수 있지만, 닭장 설치 등 초기비용으로 500달러(약 72만원)가 들고 매월 사료비·관리비로 20달러(약 2만9천원)가 든다"고 설명했다.
현재 미국의 계란 12개 가격은 4.95달러(약 7100원)로 사상 최고치를 기록 중이다. 특히 지난해 말부터 조류 인플루엔자가 전국적으로 확산되면서 계란 가격이 가파르게 상승했다. 이에 따라 협동조합을 설립하거나 키우는 닭의 숫자를 늘려 계란 1개당 생산비용을 낮추려는 시도도 늘어나고 있다.
톰킨스는 조류 인플루엔자 전염과 관련해 "주된 감염원은 야생 물새인데 우리 고객 다수의 정원에는 야생 물새가 배회하지 않는다"면서도 "닭장 출입 시 전용 신발 착용과 철저한 개인위생 관리가 중요하다"고 조언했다.
업계에서는 조류 인플루엔자 확산세가 지속되는 가운데 계란 수요도 꾸준히 증가하면서 당분간 가격 상승 압박이 이어질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이에 따라 자가 양계에 뛰어드는 가구는 더욱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한편 미 농무부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기준 산란계 사육 마릿수는 전년 동월 대비 5%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문가들은 "조류 인플루엔자로 인한 살처분이 주된 원인"이라고 분석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