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개발특구진흥재단 대덕연구개발특구본부는 2월 5일 오후 2시 특구재단 2층 컨퍼런스홀에서 2025년 대덕연구개발특구육성사업(R&D) 사업설명회를 개최한다고 3일 밝혔다.
올해 진행되는 ‘2025년 대덕연구개발특구육성사업(R&D)’은 12대 국가전략기술 및 딥테크 분야를 집중 육성하고 공공기술의 사업화를 선도하기 위해 ‘전략기술 특구 연구성과 사업화’에 132억원, ‘특구 혁신성장 스케일업 지원’에 96억원, 기타 공통예산을 포함한 총 310억원을 투입한다.
먼저 전략기술 특구 연구성과 사업화와 관련, ‘전략기술 발굴 및 연계’ 사업에 국가전략기술 분야의 주요 산·학·연·관으로 이루어진 ‘혁신주체 네트워크’를 신설한다.
이를 통해 공공연구기관이 보유한 국가전략기술 분야 및 딥테크 분야의 유망 기술을 발굴하고 수요자와의 연계를 강화해 기술사업화 생태계를 더욱 견고하게 구축할 예정이다.
R&D분야에서는 ‘유니콘 프로젝트’ 사업을 신설해 연구소기업을 지역 앵커기업으로 육성하고, 유니콘 기업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연구소기업의 성장단계별 R&BD를 지원한다.
또한 특구내 기업이 당면한 애로를 해결하기 위해 ‘이노폴리스캠퍼스’ 사업도 개편한다. ‘지역 인력 양성 지원’ 및 ‘기업가 정신 교육’을 신규 개설해 기업의 인력난 해소와 공공 연구기관 창업 문화 활성화를 지원한다. 또한 법률, 재무, 회계, 인사 등 다양한 분야의 기업 애로사항 해결을 위해 ‘원스톱 지원센터’를 운영한다.
특구 혁신성장 스케일업 지원과 관련, 기업의 스케일업을 집중 지원하기 위한 ‘지역혁신 실증 프로젝트 기획’사업을 추진된다. 이를 통해 지역 특화산업과 연계한 실증 과제를 발굴하고 기획 프로젝트와 수요자를 연계하는 대형과제 신설을 통해 실증R&BD 지원을 강화한다.
대덕특구본부는 이번 사업설명회에서 대덕연구개발특구육성사업 뿐만 아니라 특구기업의 해외진출지원을 위해 신설된 글로벌 부스트업 프로젝트와 특구 규제샌드박스 제도, 연구개발특구 입주를 희망하는 기업들을 위한 입주절차를 포함해 안내한다.
이어 특구기업의 대·중견협력지원을 위해 대·중소기업·농어업협력재단의 대·중소협력사업 및 기술보호제도 안내도 이루어질 예정이다.
서동경 대덕특구본부 본부장은 “2025년 대덕특구육성사업을 통해 국가전략기술 및 딥테크 기술을 집중 육성하고 글로벌 경제를 선도하는 특구로 도약하기 위하여 전략기술 사업화에 집중하겠다”고 밝혔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