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시가 추진 중인 ‘부산형 착한결제 캠페인’이 지역경제 활성화의 새로운 대안으로 주목 받고 있다. 기관과 기업, 시민들이 소상공인·자영업자 매장에서 미리 결제하고 추후 다시 방문해 서비스를 이용하거나 상품을 받는 방식으로, 단순한 소비 진작을 넘어 지역경제 선순환 구조를 구축하는 데 기여하고 있다.
29일 부산시에 따르면 시와 시의회, 시교육청, 구·군, 공사·공단, 출자·출연기관 등 40개 기관은 설 명절 전까지 기관별 업무추진비 20%가량을 미리 결제했다. 총 54억 원 규모다. 다음 달 말까지 업무추진비의 10%를 더 선결제하기로 해 지원 규모는 더욱 늘어날 전망이다.
부산진구의 경우, 설 이전까지 1억8600만 원을 결제한 데 이어 다음 달 9300만 원을 더 지급해 총 2억7900만 원을 미리 쓰기로 했다. 부산신용보증재단은 본점과 10개 영업점 전체가 참여해 시내 24개 점포에 업무추진비를 결제했다. 이러한 선제적 조치는 지역 상권에 실질적인 자금 유입 효과를 가져왔으며 소상공인들 사이에서 큰 호응을 얻고 있다.
여기에 중소기업중앙회, 부산진해경제자유구역청, 부산은행 등으로 캠페인이 확산한 데다가 선보공업·화승네트웍스·동원개발 등 지역 대표 기업들이 릴레이 방식으로 동참하면서 지역 상권 활성화에 힘을 보태고 있다. 이들 기업은 자사의 임직원에게도 캠페인의 취지를 알리고 참여를 독려해 사회적 책임을 실천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시는 4월6일까지 10만 원 이상 미리 결제한 후 시 누리집에 인증한 시민에게 온누리 상품권을 지급할 계획으로, 시민들의 적극적인 참여도 기대하고 있다.
이 캠페인은 단기적인 소비 진작 효과뿐만 아니라 장기적으로 지역 내 소비 선순환 구조를 구축할 수 있다는 점에서 긍정적인 평가를 받는다. 특히 소상공인들에게는 안정적인 자금 유입을, 기업에는 골목상권 활력 증대 참여 기회를 제공하고 시민에게는 지역 상권에 대한 애착과 책임감을 심어주는 효과가 크다. 시는 부산형 착한결제 캠페인이 지속 가능한 지역경제 활성화 모델로 자리 잡는 것을 목표로 하는 만큼 소상공인 지원 정책과 연계한 다양한 사업을 추가로 마련할 계획이다.
박형준 시장은 “착한결제 캠페인은 단순히 소비를 독려하는 것을 넘어 기관·기업, 시민과 소상공인이 함께 상생하는 새로운 경제 플랫폼”이라며 “이번 캠페인을 통해 소상공인과 자영업자의 경영 안정을 돕고 지역경제에 활력을 불어넣을 수 있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