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국회의원 총선 관리를 위해 공무원들이 대거 차출되면서 공직사회에 극심한 피로감이 확산되고 있다. 올해 총선에서 수검표가 부활되면서 차출되는 공무원 수가 급격히 증가하는 반면, 추가 업무에 대한 수당은 극히 적기 때문이다.
9일 서울시에 따르면 올해 총선 사무관리를 위해 차출된 서울시청과 구청 공무원의 연 인원은 2만4295명에 달한다. 시청 공무원이 1180명, 구청 공무원이 2만3115명 차출됐다. 이는 선거인 명부 작성, 사전 투표, 검표 등에 차출되는 공무원의 수를 모두 합한 것으로 한 사람이 두 번 차출되면 2명으로 계산된 숫자다. 비록 중복 계산된 숫자이지만 서울시청과 구청 공무원 수가 올해 기준 4만7866명(시청 1만565명, 자치구 3만7301명)인 점을 감안하면 행정에 차질을 빚을 정도의 규모다.
서울의 한 구청 관계자는 “총선 개표 과정에서 수검표가 부활되면서 과거 선거에 비해 공무원 차출 규모가 크게 늘었다”고 말했다. 선관위는 지난 2022년 대선 당시 ‘소쿠리 투표’ 논란으로 신뢰에 타격을 입자 30년만에 수검표를 부활시켰다.
실제 투표 사무원에서 일한 한 공무원이 이날 숨지는 사건이 발생하기도 했다. 이날 전국공무원노동조합에 따르면 남원시청 이 한 공무원이 지난 7일 아침 쓰러져 하루만에 숨졌다. 이 공무원은 지난 5일부터 6일까지 이틀간 총선 사전투표에 동원돼 장시간 근무를 한 것으로 알려졌다.
선거사무에 동원되는 공무원에 대한 처우도 터무니없이 낮다는 지적도 제기되고 있다. 실제 지방공무원이 새벽 4시부터 저녁 7시까지 14시간 일하면 13만원의 수당을 받는 것으로 전해졌다. 휴일근무나 초과근무 수당 없이 말 그대로 최저임금 수준의 수당만을 지급받고 일하는 셈이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