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시멘트 등 건설자재 수요가 지난해보다 늘지만 자재 생산량이 뒷받침되지 않아 수급불균형이 발생할 수 있다는 주장이 나왔다.
10일 한국건설산업연구원은 ‘건설 경기 변화에 따른 주요 건설자재 수요 변화 연구’ 보고서를 통해 “시멘트·레미콘·골재 및 석재·철근 등 주요 건설자재의 수요와 공급 패턴을 확인한 결과 건설 경기 회복 및 확장기에는 수요량보다 더 많은 생산이 이뤄진다”며 “건설 경기 하락국면에서는 실제 수요보다 생산이 급감하는 것으로 확인됐다”고 밝혔다.
이어 “현재 공사 물량이 감소한 것은 아니나 자재 생산자들은 원자재 비용 증가와 최근 건설경기 침체에 따른 공사물량 위축에 대비해 생산량을 감축할 유인이 높아졌다”며 “재고 조정을 위해 생산을 줄일 가능성이 크다” 덧붙였다.
건산연은 올해 건축공사 물량에 건설기성자료(OLS)로 집계한 토목 공사의 소요 물량을 더할 시 △시멘트 4.9∼8.1%(5400만t) △레미콘 2.7∼8.8%(1억 5850만㎥) △골재 3.3∼8.0%(1억5310만㎥) △철근 및 봉강은 6.6∼8.9%(1410만t)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했다.
이어 “(생산 감축)흐름이 지속되면 2021년 상반기 철근난과 2022년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으로 인한 시멘트와 레미콘 가격 급등과 같은 자재 문제를 향후 2~3년 내 재현될 수 있다”고 경고했다.
박철한 연구위원은 “중장기적 관점에서 공공주택 뉴:홈 50만호 건설을 위해서도 안정적인 자재 공급이 필요하다”며 “자재 수급문제가 발생하지 않도록 민간과 정부가 적정 생산과 재고를 확보해 안정적인 시장 환경을 마련해야 한다”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