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가 부서 구분 없이 행정 데이터를 활용할 수 있고 비전문가도 쉽게 이해할 수 있는 인공지능 기반의 빅데이터 서비스 플랫폼 구축 사업을 추진한다.
서울시는 28일 착수보고회를 열고 사업 수행 목적 및 세부 추진 방향 논의를 시작으로 8개월에 걸쳐 인공지능 기반의 빅데이터 서비스 플랫폼을 구축한다고 밝혔다. 앞서 지난해까지 진행된 1단계 사업에서 시는 보유하고 있는 행정 데이터와 IoT(사물인터넷) 센서에서 수집하는 도시 데이터를 한 곳에 저장하고 분석하는 ‘빅데이터 통합저장소’를 구축했다. 올해의 2단계 사업에서는 1단계에서 구축된 빅데이터 통합저장소 인프라를 활용하고 행정데이터와 외부데이터를 추가로 수집해 활용도 높은 데이터셋을 도출할 예정이다.
시는 데이터셋의 활용도를 높이기 위한 검색·공유·활용법 등을 개발해 메타 데이터 검색 시스템을 고도화한다. 시는 행정 분야의 218개 시스템 데이터 중 정책에 우선 필요한 데이터를 각 분야별로 30개 가량 선정해 가칭 ‘서울데이터300’를 개발한다. 이와 함께 ‘서울 인구관’에 활용될 생활인구, 생활이동, 주민등록인구 등의 통계청 데이터와 KT 통신 데이터 500여 종을 연계 수집한다.
서울 인구관은 데이터 이용 활성화를 위해 지리정보시스템(GIS) 및 가상 융합 기반으로 개발된다. 3D(3차원) 애니메이션 메타버스 공간에서 인구와 관련된 정책 의사결정에 필요한 데이터를 과거, 현재, 미래의 시간 흐름에 따른 시계열 방식으로 확인할 수 있는 시스템이다.
서울시는 수집한 빅데이터를 편리하게 검색·활용할 수 있도록 자연어 기반의 검색 서비스와 인공지능 기반의 분석 환경도 구현한다. 이를 바탕으로 주민등록 인구, 생활인구, 생활이동 등의 데이터를 활용해 서울시의 인구 변화를 예측하는 서비스를 개발할 계획이다.
시는 올해 서울 인구관 구축을 시작으로 내년 경제관, 주택관, 서울서베이관 등 정책 주제별로 가상 융합 공간을 확대해갈 계획이다. 이를 통해 데이터 기반의 정책 의사 결정이 더욱 활성화할 것으로 서울시는 기대했다.
박종수 서울시 스마트도시정책관은 "빅데이터 서비스 플랫폼을 구현해 서울시의 데이터 기반 행정 역량을 강화할 혁신 기반을 마련하는 사업"이라며 "이를 통해 서울시민의 생활에 더욱 밀접한 행정 서비스 창출이 더욱 가속화될 것"이라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