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이스X가 완전한 재사용을 목표로 개발 중인 우주발사체 스타십(Starship)이 곧 비행시험에 나선다고 한다. 스페이스X는 스타십을 지구궤도 유·무인 발사·활용, 달 착륙, 화성 유인 탐사, 우주탐사 등 우주운송 수단의 게임체인저로 쓰겠다는 구상이다. 심지어 발사 비용은 과거 대비 100분의 1 수준이고 임무 후 한 시간대에 다시 발사할 수 있다.
스페이스X는 그동안 우주발사체의 재사용이 가능하다는 것을 입증했고 1개의 발사체를 10회 이상 발사하며 발사 비용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다는 사실도 보여줬다. 스타십이 시장에 데뷔하면 세계 우주발사 서비스 시장의 질서는 다시 한번 파괴적으로 재편될 것이다.
민간 기업이 자신의 자본과 혁신 기술을 앞세워 우주개발의 전면에 등장한 흐름을 ‘뉴스페이스’라고 한다. 스페이스X는 그 상징과도 같은 기업인데 이 같은 혁신 기업들이 계속 등장하며 우주개발에 새로운 바람을 불어오고 있다.
한 공학자로서 또 어떤 새로운 기술이 나올지 기대되기도 하지만 우리나라 우주개발 전문 기관을 이끄는 입장에서는 우리가 그동안 성취한 결과와 향후 계획을 고려하더라도 앞으로 더 벌어질 수 있는 선진국과의 기술 격차를 줄여나갈 방법을 고심하느라 때로 잠을 설친다.
우리나라 우주개발은 국가 임무 수행을 위한 체계 개발 중심으로 이뤄져왔다. 우주개발 초기 단계의 국가가 취할 수밖에 없는 선택이었다. 늦은 출발에도 불구하고 우리는 아주 빠른 기술 발전을 이룩했다. 인공위성 개발 역량은 세계 최고 수준에 도달했고 실용급 위성을 지구궤도에 보낼 수 있는 독자적 우주운송 기술 확보를 눈앞에 두고 있다. 우리나라 최초의 우주탐사선인 달 궤도선도 곧 발사한다.
우리가 짧은 기간에 이뤄낸 우주기술 발전은 분명 극적일 정도로 대단한 일이지만 이 정도 성취에 자만하기에는 세계적으로 우주개발이 너무나 큰 전환기를 맞고 있다.
우주개발 패러다임 전환의 중심에는 바로 혁신 기술이 있다. 기술 혁신의 속도와 우주산업의 상업화가 가속화되고 있는 지금 시대에 추격자 전략은 우주개발에 있어서도 더 이상 통할 수 없어 보인다.
선도자의 위치로 전환하기 위해서는 우주 혁신 기술을 도전적으로 발굴·투자해야 한다. 누구도 도전한 적 없지만 가치가 있다고 판단되는 기술을 적극 탐색해야 한다. 선진국에서 시도하고 있지만 아직 도달하지 못한 기술에 도전해볼 필요도 있다. 목적과 경제성이 불분명하고 성과를 내기 어려워 보일지라도 가치가 보인다면 과감히 연구개발에 도전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야 한다. 한국항공우주연구원에 미래 혁신 기술을 연구하는 조직인 미래혁신연구센터를 설치한 것도 바로 이런 이유다.
10여 년 전 일론 머스크가 재사용 발사체를 개발해 발사 비용을 10분의 1로 낮추겠다고 했을 때 비아냥을 받기도 했다. 그러나 그의 과감한 도전은 시장의 질서를 새로 쓰는 데 성공했다.
우리나라는 이미 정밀기계·소재·전자·통신·건설 등 세계 최고 수준의 공학 기술을 확보하고 있다. 우리라고 못할 이유가 없다. 우리나라 우주개발의 미래를 위해 보다 담대하고 도전적인 꿈을 꾸는 사람들이 많아지기를 기대한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