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와대가 코로나19 발생 이전과 비교했을 때 지난달 취업자 수가 더 증가했다고 밝혔다. 야당의 주장대로 공공부문의 임시직 일자리가 아닌 민간에서 77만 개 이상 늘었다고 설명했다.
임서정 청와대 일자리 수석은 14일 한 라디오 프로그램에 출연해 “2020년 2월에 통계를 맞춰 계속 노력을 했었다”며 “그 기준으로 지난달 12월 취업자 수는 이미 100%를 달성했다”고 주장했다. 사회자가 “코로나 이전 고용을 100으로 봤을 때 지금은 어떻게 돼 있는가”라고 묻자 “지금 102% 달성을 했다”고 답했다.
임 수석은 통계청이 발표한 지난달 고용동향 자료와 관련, 증가한 일자리 77만 개 모두 공공 부문이 아닌 민간 부문에서 발생했다고 밝혔다. 그는 “2021년 3월에는 62%가량이 공공 쪽에서 나오는 걸로 됐지만, 4월부터는 공공에서 나오는 비율이 대폭 줄어 30% 정도에 머물렀다”면서 “작년 12월은 공공 부분에서 제공한 일자리가 전년도에 비해 마이너스가 됐다”고 설명했다. 공공부문의 일자리가 줄었는데 민간부문이 폭발적으로 늘어 77만 개의 일자리가 생겼다는 의미다. 야당은 그간 일자리 증가와 관련 공공기관 비정규직 일자리 부문이 늘어난 것이라고 비판했었다.
임 수석은 “경제가 어려울 때는 재정에 대한 투입을 더 많이 해서 일자리를 많이 만들어야 한다”며 “경기가 풀리면서 민간 부문이 늘어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