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고위당국자들이 중국 정부의 홍콩 국가보안법 제정 추진에 맞서 홍콩의 특별지위를 박탈할 수 있다고 잇따라 공식 경고하고 나섰다. 중국은 내정간섭이라며 강하게 반발하고 있어 미중 갈등 수위가 최고조에 달하고 있다. ★관련기사 5면
케빈 헤싯 백악관 경제 선임보좌관은 22일(현지시간) CNN과의 인터뷰에서 “(홍콩 국가보안법은) 중국 및 홍콩 경제에 매우 좋지 않을 것이다. 대가가 매우 클 것”이라며 “모든 옵션이 테이블 위에 있다”고 밝혔다. 로버트 오브라이언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도 “홍콩은 다양한 관세동맹에서 자유주의 경제로서 처우를 받고 있으며 특권을 누려왔다”며 “이 같은 권리들이 지속될 수 있을지 살펴봐야 할 것”이라고 말해 혜택중단 가능성을 언급했다.
미국은 지난 1992년에 만든 홍콩정책법을 통해 관세와 투자, 무역, 비자 발급 등에서 홍콩을 특별대우하고 있다. 중국에 적용하는 25%의 고율관세도 홍콩은 예외다. 이 때문에 특별지위가 사라지면 홍콩에서 자본과 인력 엑소더스가 나타날 수 있다는 분석이 지배적이다. 로이터통신은 특별지위 박탈 시 중국의 보복이 예상된다고 전했다. 중국 외교부는 “홍콩의 안보입법은 내정이므로 어떤 국가도 관여할 권리가 없다”며 “외부세력의 간섭에 반대한다는 중국 정부의 결심은 확고하다”고 강조했다.
이런 상황에서 미 상무부는 대량살상무기(WMD) 및 신장위구르자치구에서의 인권탄압을 이유로 이날 33개 중국 회사와 기관을 ‘블랙리스트’에 올려 추가 갈등을 예고했다.
/뉴욕=김영필특파원 susopa@sedaily.com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