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이 오는 23일 베이징에서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 정상회담을 한다고 청와대가 19일 밝혔다. 중국 쓰촨성 청두에서 열리는 제8차 한중일 정상회의 참석차 23일부터 1박2일간 방중하는 문 대통령은 청두 방문 전 베이징에 들러 시 주석을 만날 예정이다.
이번 한중정상회담은 ‘연말 시한’을 앞두고 북미대화가 교착상태에 빠진 상황인 만큼 북한 비핵화 문제가 의제에 오를 것으로 보인다. 또 지난 2016년 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THAAD·사드) 배치 결정 이후 촉발된 중국의 ‘한한령(限韓令)’을 해제하는 문제도 논의될 가능성이 있다.
한정우 청와대 부대변인은 이날 춘추관 브리핑에서 “제8차 한중일 정상회의 참석차 중국을 방문할 예정인 문 대통령은 12월23일 월요일 오전 베이징에서 시 주석과 한중정상회담을 하고 당일 오후 청두로 이동해 리커창 중국 총리와 회담을 연다”며 “시 주석과의 정상회담을 통해 한중관계 발전 및 양국 간 교류·협력 활성화 방안, 그리고 한반도 정세에 대한 심도 있는 의견을 교환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문 대통령과 시 주석 간 회담은 6월 일본 오사카에서 열린 주요20개국(G20) 정상회의를 계기로 이뤄진 한중정상회담 이후 6개월 만이다.
문 대통령은 이번 회담에서 시 주석에게 북한을 대화의 장으로 이끌어내 달라고 요청할 것으로 예상된다. 연말 시한을 얼마 남겨두지 않은 상황에서 북한이 잇따른 무력도발을 감행하며 북미 간 비핵화 대화가 진척을 보이지 못하는 만큼 중국을 통한 우회적인 설득 방안이 논의될 것으로 전망된다. 다만 청와대는 한중정상회담의 구체적인 의제와 관련해서는 말을 아꼈다. 청와대 관계자는 이날 춘추관에서 기자들과 만나 “한중 정상 간 심도 있는 대화와 또 정상급에 맞는 대화를 위해 저희가 구체적인 사안을 밝히는 것은 적절하지 않다”면서도 “다만 우리 정부가 주도하고 추진해온 한반도 평화 프로세스에 대한 의견교환이 있지 않을까 예상해보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한반도 비핵화 문제와 더불어 우리 정부의 사드 배치 결정에 대한 보복조치 성격이었던 ‘한한령’ 관련 언급도 나올 수 있다.
시 주석과의 정상회담 이후 열리는 리 총리와의 회담에서는 한중관계 발전 방안이 논의된다. 한 부대변인은 “리 총리와의 회담에서는 한중 간 실질협력 제고 방안과 한중일 3국 협력 틀 내에서의 한중 간 협력 방안 등에 대해 논의할 예정”이라며 “이번 회담은 한중 전략적협력동반자 관계를 보다 내실화하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한편 이번 한중일 정상회의를 계기로 문 대통령과 아베 신조 일본 총리의 정상회담도 24일 열린다. 한일정상회담에서는 일본의 대(對)한국 수출규제 조치로 촉발된 한일 무역갈등을 비롯해 한일 군사정보보호협정(GSOMIA·지소미아) 등 양국 간 현안에 대한 의견교환이 이뤄질 것으로 보인다. 한중일 정상회담에 앞서 3국 무역장관들도 회담을 갖는다. 교도통신에 따르면 3국 무역장관 회의는 22일 열린다. 한국에선 성윤모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중국에선 중산(鐘山) 상무부장, 일본에선 가지야마 히로시(梶山弘志) 경제산업상이 참석한다.
/양지윤기자 yang@sedaily.com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