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균관대 삼성서울병원 백승운·신동현(소화기내과), 임효근(영상의학과), 최규성(이식외과), 박희철(방사선종양학과) 교수팀이 지난 2005~2013년 간암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간세포암으로 진단 받은 6,619명을 다학제 진료군(738명)과 다학제 진료를 받지 않은 군(5,881명)으로 나눠 장기 생존율을 비교분석한 결과다. 이들의 연령 중앙값은 57세였고 남자가 80%, B형간염 환자가 76%를 차지했다.
다학제 진료는 외과·종양내과·영상의학과·방사선과·병리과 등 여러 진료과 의사들이 회의를 통해 최적의 치료방법을 모색하는 것을 말한다.
26일 연구팀에 따르면 간세포암 다학제 진료군의 5년 생존율은 71.2%로 그렇지 않은 환자(49.4%)보다 1.44배 높았다.
두 환자군의 나이·성별, B형간염 여부, 암 진행상태 및 진단시점 등 생존율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들을 비슷한 698명씩을 비교해도 다학제 진료군의 5년 생존율(71.4%)은 그렇지 않은 군(58.7%)의 1.22배였다.
다학제 진료군의 사망 위험도는 다학제 진료를 받은 않은 간세포암 환자군보다 34% 낮았다. 사망위험도를 낮추는 효과는 간세포암이 중간·진행 단계인 경우, 간기능이 많이 떨어져 있는 경우, 혈청 알파태아단백(AFP) 수치가 200ng/㎖ 이상으로 높은 경우 두드러졌다.
연구팀은 다학제 진료 여부에 따른 생존율·사망위험 차이에 대해 “간세포암은 다른 암에 비해 치료법이 복잡하고 선택 가짓수도 많기 때문으로 보인다”며 “다학제 진료가 최적의 환자 치료 제공에 중요한 선택일 수 있지만 많은 의료자원 투입과 높은 의료비용을 초래하는 문제가 있다”고 설명했다.
간세포암은 주로 만성 간질환자에게서 발생하고 조기에 발견해 치료해도 재발률이 높다. 치료 때 간 기능을 보존해야 하는 것도 치료를 어렵게 하는 요소다. 치료방법도 △간절제술 같은 수술적 치료 △고주파 열치료, 냉동치료, 마이크로웨이브 소작술, 색전술, 방사선색전술 같은 중재시술 △항암·표적·면역치료와 방사선·양성자치료 △생체 부분간이식 또는 뇌사자 간이식 △이들 간 다양한 조합 등 매우 다양하다.
연구팀은 “이번 연구로 간암 치료에 다학제 진료가 왜 필요하고, 환자에게 얼마나 도움이 되는지를 실증적으로 확인됐다”면서 “다학제 진료가 간암 진료에 완전히 정착할 수 있도록 정책적 지원과 관심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연구결과는 국제학술지 ‘플로스원(Plos one)’에 발표됐다.
/임웅재기자 jaelim@sedaily.com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