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로운 산림정책 종합계획은 기존 산림자원의 조성·관리 중심에서 ‘사람·공간’ 중심으로 정책 패러다임을 전환하고자 합니다. 국민이 쉽게 접할 수 있도록 생활권에 숲을 조성하고 숲에서 제공하는 서비스를 확대해 국민의 삶의 질을 개선해 나갈 것입니다.”
김재현(사진) 산림청장은 24일 “미세먼지로 국민들이 일상생활에 불편함을 느끼고 외출을 자제하는 일이 빈번해지는 등 삶의 질이 나빠지고 있다”며 “산림청이 도시 생활환경을 개선하고 자연 친화적 거주 환경을 제공하는 일에 적극 나설 것”이라며 이 같이 말했다.
김 청장은 “숲을 활용한 미세먼지 흡착·흡수 효과를 높일 수 있도록 도시 바람길숲과 차단숲 조성 사업을 올해부터 시작할 것”이라며 “도시재생 뉴딜 사업과 연계한 뉴딜 사업 유형별 도시숲 조성 모델을 지방자치단체·공공기관(LH) 등에 제공해 지자체가 뉴딜 사업 공모와 도시재생 활성화 계획 수립에 활용하도록 유도하고 있다”고 밝혔다.
그는 또 “다양한 유형의 도시숲이 국민에게 쾌적한 쉼터로 사랑받고 있다”며 “앞으로 도시숲을 활용한 산림복지 서비스 사업 발굴 및 시행을 통해 국민들이 숲 공간에서 힐링·치유에 나설 수 있도록 하겠다”고 강조했다.
이와 함께 김 청장은 “최근 선진국에서처럼 국내에서도 정원 산업에 대한 국민들의 관심이 커지고 있다”면서 “국가정원을 확충해 권역별 거점 정원으로 활용하고 찾아가는 정원 만들기 사업을 통해 공동체 의식을 회복시키는 등 국민과 함께 하는 정원을 대폭 확대해나갈 것”이라며 정원 산업 활성화 의지를 피력했다.
마지막으로 김 청장은 “신규 산림레포츠 발굴·육성, 목재교육 프로그램 개발·보급, 유치원·어린이집 연계형 유아숲체험원 확대 등 숲과 나무를 활용한 산림복지 서비스를 보다 활성화해나갈 것”이라며 “상징성, 보존 및 활용가치가 높은 숲길을 국가숲길로 지정해 숲의 품격도 높여나가겠다”고 말했다.
/대전=박희윤기자 hypark@sedaily.com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