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원자력연구원은 현재 연구개발이 진행중인 미래형 원자로의 설계 건전성을 평가하는 프로그램인 ‘HITEP(High Temperature Evaluation Program)_RCC-MRx’를 개발 완료하고 프랑스 원자력청(CEA)과 사용권 협약을 체결했다고 6일 밝혔다.
CEA가 원자력연구원에 지급할 프로그램 사용료는 4만 유로(한화 약 5,300만원)이며 사용 계약기간은 2년이다.
이 프로그램은 한국원자력연구원 이형연 박사팀이 한국연구재단의 한-EU 공동연구지원사업 및 원자력연구개발사업의 일환으로 서울과학기술대와 공동 개발했다.
이 프로그램은 소듐냉각고속로(SFR), 초고온가스로(VHTR), 국제핵융합실험로(ITER) 등 미래형 원자로의 압력용기, 열교환기, 배관계통 등의 설계 건전성을 평가하는데 사용되며 특히 500°C 이상의 고온에서 가동되는 원자로 및 기기의 구조 건전성을 평가하는 프로그램이다.
HITEP_RCC-MRx 프로그램은 미래형 원자로 설계시 사용되는 고온 설계기술기준인 RCC-MRx에 따른 평가를 기존의 수(手)계산 방식에서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전산화한 것이 특징이다.
이 프로그램은 ▦원자로 압력용기 평가 모듈 ▦배관계통 평가 모듈로 구성돼 있으며 평가를 위해 다양한 공학적 수치를 입력하면 RCC-MRx 기준을 충족하는지 자동적으로 계산함으로써 원자력 기기의 설계 건전성을 확인할 수 있다.
설계자가 직접 계산하거나 비전문 프로그램을 사용할 때 발생할 수 있는 계산적 오류 문제를 원천 차단하고 사용자가 누구든 동일한 평가 결과를 얻을 수 있어 결과의 신뢰성을 대폭 향상시켰다.
또한 전산화를 통해 기존 방식 대비 설계 평가에 소요되는 시간을 5분의 1 이하로 단축시킬 수 있고 웹기반 프로그램으로서 스마트폰에서도 구동이 가능해 사용자의 편의성이 크게 개선됐다.
원자력연 이형연 박사는 “CEA는 이 프로그램을 RCC-MRx 코드 전산화의 성공적 사례로 평가하고 있다”며 “우리나라가 미래형 원자로 설계 평가 기술을 선도하고 있는 프랑스에 기술을 역수출했다는 데 의미가 크다”고 밝혔다.
/대전=박희윤기자 hypark@sedaily.com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