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리스크는 예전과 사뭇 다른 양상이다. 북한의 일방적 도발에 그쳤던 과거와 달리 북한과 미국의 정면충돌 가능성이 부각되고 있다. 그동안 한반도를 둘러싼 지정학적 리스크는 내성 효과로 시장에 큰 충격파를 주지 않았다. 서해교전과 천안함 폭침 도발, 핵 실험과 미사일 도발 때도 그랬다. 북한의 괌 도발 예고는 미국의 안보 문제와 직결되기 때문에 미 조야가 들끓는 상황이다. 더구나 이번의 지정학적 리스크는 단기간에 해소되기도 어려운 사안이다. 북한이 괌 도발을 예고한 가운데 21일부터 한미 연례 군사훈련인 을지프리덤가디언이 진행된다. 9월9월은 북한 정권수립일이다. 북한발 리스크가 적어도 몇 주간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이 걱정스럽다. 살얼음판인 금융시장이 자그마한 악재에도 심하게 요동칠 소지가 다분하기 때문이다.
물론 외환위기와 글로벌 금융위기를 거치면서 우리 경제의 기초체력과 위기대응 시스템은 한층 탄탄해졌다. 필요 이상의 과잉반응이 불안감을 증폭시키는 측면도 있다. 하지만 북미 간 치킨게임 양상을 빚는 이번에는 좀 더 비상한 각오로 치밀한 대응태세가 요구된다. 가뜩이나 전반적 경기회복세마저 주춤한 상황에서 금융시장 불안까지 겹치면 설상가상이다. 해외발 리스크에 맞서자면 무엇보다 외환당국의 역할이 중요하다. 불안심리를 틈타 국내 시장을 교란하는 핫머니의 준동에 철저하게 대비해야 할 것이다. 필요하다면 실력행사도 마다하지 않는 적극적인 자세가 필요하다. 무질서한 환율변동에 대처하는 것은 주권국의 권리이자 당국의 책무이다. 각 경제주체도 사재기 같은 불안심리 조장을 삼가야겠지만 파장 장기화 가능성을 유념하기 바란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