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 쇄신 작업에 한창인 새누리당이 보수 결집을 위해 겉과 속이 다른 행보를 보이고 있다. ‘친박 이미지’를 지우기 위해 창당 5년 만에 이름을 바꾸며 재건에 나섰지만 박근혜 대통령을 지원 사격하는 모양새를 나타내고 있다.
이는 당의 연착륙과 차기 대선을 위해 일반 보수층은 물론 박 대통령 지지층도 껴안아야 하기 때문이다. 보수세력을 최대한 결집해 야권 주도의 대선 국면을 뒤집으려는 전략으로 보인다.
새누리당은 13일 서울 영등포 타임스퀘어에서 제15차 상임전국위원회와 제7차 전국위원회를 잇달아 열어 당명을 자유한국당으로 변경하는 당명개정안을 가결했다. 상징색은 기존 붉은색을 유지하기로 했다. 로고는 횃불 모양으로 바꿨다. 인명진 비상대책위원장은 “우리의 새 이름은 겉모습만 바꾸는 게 아니라 보수의 가치를 실현하기 위한 치열한 노력과 고뇌의 산물”이라고 평가했다.
하지만 최근 탄핵 기각 움직임과 태극기 집회 동조 등 당 쇄신과 거리가 먼 모습도 보이고 있다. 일각에서는 태극기 집회에 참여하는 의원들이 늘면서 우려를 나타내지만 정작 당 지도부는 이를 묵인하고 있다.
이는 황교안 대통령 권한대행의 지지율이 상승하고 있는 데 따른 효과로 보인다. 박근혜 정부의 2인자인 황 대행이 새누리당의 대선 후보로 나올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어서다. 뚜렷한 대선주자가 없어 고민하는 새누리당이 황 대행을 붙잡기 위해서는 박 대통령 지지층의 이탈을 막아야 한다.
친박계 인사들이 황 대행 출마에 적극적으로 동조하는 것도 같은 맥락이다. 홍문종 의원은 이날 한 라디오 방송에 출연해 “국민이 간절히 원한다면 (황 대행이) 공인이기 때문에 아마 거절만 하고 있기는 어렵지 않을까 생각한다”며 황 대행의 출마 가능성을 높였다. /류호기자 rho@sedaily.com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